레이블이 골드핑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골드핑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8년 11월 7일 금요일

[퀀텀 오브 솔러스]: 소설에 다가가려 노력한 007 영화

스포일러가 조금 있는 리뷰입니다.
아직 관람을 하지 않으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제목

영화와 주제곡 모두 처음부터 이상한 점이 있는데, 제목의 의미를 알 수 없다는 점입니다.
일단, 퀀텀 오브 솔러스(Quantum of Solace)라는 제목은 조직의 이름이 퀀텀이란 점을 제외하곤 영화에서는 아무런 의미를 보여주지 않습니다.
또한, 주제곡 Another Way To Die라는 제목 역시 이 영화의 주제곡 제목이란 생각이 전혀 들지 않을 정도로 생뚱맞습니다.

굳이 끼워맞춘다면 도미닉 그린이 본드가 생각하지 않는 방법으로 죽었다는 뜻일까 몰라도 말이죠.



2. 건배럴씬


처음부터 당황을 한 것이 [퀀텀 오브 솔러스]의 오프닝에서 [카지노 로얄]과 마찬가지로 건배럴 씬으로 시작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이 부분은 [카지노 로얄]은 아직 제임스 본드가 00 요원으로서의 자격을 갖추자 마자 즉, 2명을 제거하자마자 건배럴 씬을 보여주어, 건배럴 씬은 007 제임스 본드의 상징이란 의미를 부여한 직후라 다소 모호합니다.

아마도 사적인 복수나 마음의 짐을 덜어내는 등 성격 형성 과정이 완료되고 나서야 진정한 제임스 본드라는 뜻을 품고 있는 것 같습니다.


3. 주제곡


이번 [퀀텀 오브 솔러스]의 주제곡은 역대 007 영화의 주제곡 중에서 뒤에서 순위권이란 생각이 많이 듭니다.
멜로디도 그렇게 몰입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도 아니었지만, 특히, "워어어어~"하는 부분은 "가사 쓰기 귀찮아서" 그렇게 구성했단 생각이 절로 듭니다.

게다가, 클래식한 느낌의 영화의 방향전혀 맞지 않은 느낌이란 점까지 보면 음악이 좋은 평을 받을래야 받을 수 없다는 것은 명확합니다.


4. 악당


이 영화에서 정말 문제는 악당이 누구인지 모르겠단 점입니다.
화이트는 "We have people everywhere"라고 빈정대긴 하지만, 정작 퀀텀의 사람들은 화이트 한 명을 제외하고는 악당다운 뚝심과 끈기라곤 찾아볼 수 없습니다.

내가 좀 깡다구가 있긴 하쥐


어떠한 고문에도 불지 않고 버티려는 모습의 "쫄따구" 화이트와 달리 주적인 도미닉 그린은 그저 본드랑 차 한 번 탔을 뿐인데 술술 불어댑니다.
(뭐, 이 부분 역시 너무 생략해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 수 없지만요...)

앞부분엔 마치 그린이 퀀텀의 두목인 듯한 인상을 살짝 풍기려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 제거되는 모습을 보면 그 역시 까불어대는 악당 중 하나란 생각도 듭니다.

결국 화이트는 본드와 마주치지도 않고 지나가는데, 다음편엔 꼭 다시 만나서 끝장을 보면 좋겠습니다.


5. 구성

영화의 구성에서 좋지 않은 평가를 받는 부분이 전체적으로 뭘 말하는지 모르겠다는 점입니다.
즉, 화이트를 족쳐 퀀텀이 뭔지 알아냈는데, 막상 퀀텀과의 관계는 사업 하나를 방해한 것이 전부입니다.

게다가 퀀텀이란 조직의 정체를 관객들에겐 전혀 얘기해주지 않아 오히려 드라마 쪽으론 한쪽이 비어있는 느낌도 줍니다.

그런데, 다른 관점에서 보면 퀀텀을 3부작으로 만들고 이 중 2편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이는 이미 007 소설에서 등장했지만 영화세계에선 묻혀버린 3부작을 복귀시키려는 것 같습니다.

블로펠드 트릴로지를 이루는 <썬더볼> - <여왕폐하의 007> - <두번산다>의 구조를 보면,
1. 조직의 큰 사업을 막아내며 조직의 정체를 발견
2. 조직을 궤멸수준으로 파괴시키나, 아내가 피살당함
3. 마지막 끄나풀을 찾아내서 피튀기는 싸움을 통해 복수
의 탄탄한 구성을 갖췄습니다.

그런데, [카지노 로얄]과 [퀀텀 오브 솔러스]를 퀀텀 3부작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1. 조직의 이름도 전혀 모르고 이용만 실컷 당하다가 마지막에 겨우 살아남
2. 조직의 큰 사업을 막아내며 조직의 정체를 발견
3. 조직을 궤멸수준으로 파괴시킴
의 구성을 위해 만들어진 플롯이 아닐까 합니다.

하지만, 일부 캐릭터나 구성이 낭비된 모습이 보였다는 점은 아무리 생각해도 아쉽습니다.
특히, 영국 수상 보좌관의 비서를 제거했는데, 알고 보니 요원이더라는 내용이나, 사무직인 필즈 요원이 괜히 본드와 숙면을 취한 다음 그린에게 까불다가 기름 뒤집어쓰고 죽는 내용 등은 안 들어감만 못한 장면인 것 같습니다.


6. 액션


관객분들 중에는 [퀀텀 오브 솔러스]의 액션이 지루했다는 평도 있더군요.

하지만, 그렇지는 않다고 봅니다.
댄 브래들리가 촬영한 아날로그 액션은 스피디하고, 초반부 액션들은 숨쉴 틈을 주지 않고 배치되어 몰입감을 최대한 높여줬습니다.

[본 슈프리머시]와 [본 얼티메이텀]의 스턴트를 감독하며 보여준 그의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합니다.
(흔히 최근 007 두 편과 본 시리즈의 액션을 비교하는데, 스턴트 감독이 같은 분입니다. ^^;;;)

하지만, 문제는 전체적으로 드라마와 조화가 잘 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앞부분에 쉴새 없이 액션을 몰아치다 다시 드라마로 넘어간 뒤에도 가끔씩 액션을 보여주어 긴장감을 늦추지 않게 배치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엔딩 직전에 베니스 액션 씬을 집어넣는 등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게 했던 전작 [카지노 로얄]과 비교되게, 불탄 건물에서 탈출하는 본드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사실 이 장면은 [뷰투어킬]불난 시청 건물 탈출씬의 오마주인데, 그 장면이 무어 할아버지가 다찌마리를 소화하지 못해 삽입되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후반부에 힘이 빠진 원인 중 하나라고 판단됩니다.


7. 클래식 및 소설의 귀환



전술했던 강력한 악당 트릴로지 외에도 본드의 아이콘인 월터 PPK, 친구의 죽음에 대한 복수 등 이번에도 많은 부분에서 클래식한 모습으로 돌아가기 위한 흔적이 보입니다.
특히, 르네 마티즈는 원작에서의 필릭스 라이터를 대신하여 희생됨으로서 복수에 더욱 민감해지는 제임스 본드의 캐릭터 완성에 일조하리라 봅니다.

또한 영화 속에서 계속 등장하지만, 직책이나 근무지를 도통 알 수 없었던 필릭스 라이터가 적절한 근무지와 직책을 부여받는 것은 핵심 캐릭터의 입체감과 현실감을 키우는데 일조합니다.
(소설에서는 2번째 작품인 <죽느냐 사느냐>에서 상어에게 물어뜯깁니다. ㅡㅡ;;;)

한편으로, 약간이나마 정치적 이슈를 끌어들인 점 역시 소설 속의 제임스 본드와 비슷해지려는 노력입니다.
(걸작 007 소설 <위기일발>은 사실 영국 MI6와 소련 KGB의 피튀기는 한판 승부였습니다. 정치적 중립 따위는 존재하지 않았고 말이죠.)


8. 오마쥬

[퀀텀 오브 솔러스]는 여러 007 영화의 장면을 오마주했는데, [어나더데이]삽질 패러디와는 달리 적절히 품위있는 오마주를 보여줍니다.
뭐, 전술했던 [뷰투어킬]의 오마주는 좀 실망이긴 했지만 말이죠.

대략 [위기일발], [골드핑거], [나를 사랑한 스파이], [문레이커], [뷰투어킬], [리빙데이라이트], [살인면허]의 7편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문레이커]의 오페라장 대결, [뷰투어킬]의 화재건물 탈출, [위기일발]의 보트신 오마주 장면들



2008년 3월 25일 화요일

제임스 본드는 실존인물이다

007 Die Another Day에서 차용한 전작의 이미지들 #1이라는 글을 포스팅하자 도아님께서 "제임스 본드는 실존인물이다 라는 제목으로 글을…"이라는 댓글을 다셨습니다.

그러고보니, 제임스 본드가 실존인물이라는 얘기는 그야말로 "아는 사람만 아는" 얘기인 것 같습니다.
영화를 좋아하시는 분들 특히, 제임스 본드 영화의 팬들 사이에서야 다 아는 얘기일 뿐이지만, 거의 알려지지 않은 것 같아 씁니다.




1989년, (그러고보니 벌써 19년 전이군요) 신문에서 특이한 제목의 기사가 눈에 띄었습니다.
제임스 본드 사망
'아니, 무슨 007 두번산다의 한 장면도 아니고, 이게 뭐지?' 하는 마음으로 글을 읽었습니다.
네. 정말 제임스 본드라는 분이 돌아가셨다는 기사가 맞았습니다.
(뉴욕 타임즈에서 유사한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제임스 본드라는 분은 1900년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신 미국의 대표적인 조류학자였습니다.
이분이 1936년에 캐리비안 해의 새들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를 서인도제도의 새들(Birds of the West Indies)이라는 제목으로 출간했습니다. (이 책은 현재도 인쇄 및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는 책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인도제도의 새들의 여러 판본들


제임스 본드라는 캐릭터를 창조한 작가인 이언 플레밍은 1953년 카지노 로얄이라는 제목의 소설을 집필할 때 틈틈이 새를 관찰하곤 했습니다.
(이곳이 바로 자메이카에 있는 그의 별장 골든 아이(Golden Eye)입니다)
이 때 참고삼아 보던 책이 바로 그 유명한 서인도제도의 새들이었습니다.

그는 당시 카지노 로얄의 주인공 이름을 정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었는데, 그가 원하는 이름은 로맨틱하지 않고, 앵글로 색슨의 느낌이 나면서 남성적이고 동시에 평범한 이름이었습니다.
그러다 자기가 보던 책의 작가 이름을 보면서 필이 꽂혔습니다. "바로 이 이름이야!"
즉각 그 이름을 사용하기로 하고, (실제) 제임스 본드의 부인에게 남편의 이름을 사용하겠다는 편지를 썼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일을 계기로 이언 플레밍과 제임스 본드는 알고 지내게 되었습니다.
이후 살인번호위기일발이 대흥행을 하게 되고 제임스 본드가 이언 플레밍을 만나러 자메이카로 오는 과정에 엉뚱한 해프닝이 발생합니다.

세관 직원들이 그의 여권을 보니 이름이 제임스 본드인 것입니다.
(게다가 그곳은 이언 플레밍이 머물고 있는 자메이카입니다)
한바탕 소동을 겪고 나서야 세관직원들도 사정을 알게 되고 그저 해프닝으로 끝나긴 했지만, 생각해보면 이해가 되는 상황입니다. 공항을 지나가는데 여권에 루크 스카이워커오비완 케노비라고 적혀있으면 세관 직원들이 그냥 놔두겠습니까? ^^;;;

사용자 삽입 이미지

James Bond와 Ian Fleming






이언 플레밍과 제임스 본드 또는 (캐릭터) 제임스 본드의 모델이 되었다는 패트릭 딜-조브에 대한 얘기들은 아래 사이트를 보시면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 사이트1. DVD Prime의 김정대 님의 글 : <007 골드핑거 U.E> / Shaken, Not Stirred
2. Wikipedia : James Bond (ornithologist)
3. 폴라곰님의 블로그 : 제임스 본드의 원류를 찾아서 - 패트릭 딜-조브(Patrick Dalzel-Job)



2007년 9월 27일 목요일

007 Goldfinger: 소설 vs 영화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62년 [Dr. No]부터 2006년 [Casino Royale]까지 21편의 007 영화가 나왔고, 흥행에 있어서 좋은 결과를 거둔 영화들이 많았지만, 흥행 및 비평의 폭발력은 [Goldfinger]만한 007 영화가 없었습니다.

Auric Goldfinger가 Fort Knox를 털려고 시도하고, James Bond가 이를 막아낸다는 스토리의 소설 및 영화는 엄청난 속도로 관객의 호주머니를 털어내고 말았습니다. (레바논에서는 학생들도 이 영화를 볼 수 있도록 관람료를 내려달라는 시위가 있기도 했습니다)

[Goldfinger]에서 털려고 시도한 Fort Knox는 지금도 각종 영화에서 털어보려고 시도하는 미연방준비은행(FRB)의 금고입니다.
[Goldfinger]에서 처음 털어보려고 했고, 이후 [Die Hard 3]에서도 털렸던 곳입니다. 영화에서는 이런 저런 디자인으로 보여줬지만, 실제로 내부 구조는 전혀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Goldfinger]를 영화화할 때까지만 해도 Ian Fleming이 생존해있었고, 제작에 많은 도움을 주었기 때문에 영화 GF는 소설과는 다소 다르지만 소설의 플롯이 거의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게다가 오프닝 장면에서 잠수복을 입고 잠입한 뒤 잠수복을 벗자 정장을 입고 있다는 설정은 뒤에 아놀드 몸짱 형님의 007 패러디 영화 True Lies 오프닝에서 그대로 사용됩니다.
(정말 멋진 장면이죠)

실제, 이 소설이 나온 뒤에 가장 크게 제기되던 문제점은 과연 엄청난 양의 금을 "털" 수 있냐는 것이었습니다. 금괴의 양이 1만톤이 넘는데, 이를 어느 세월에 "터냐"는 것이죠...
소설에서는 이를 적절하게 설명하기는 했지만(이 부분이 Ian Fleming 소설의 매력 중 하나입니다) 그런다고 말이 되는 것은 아니죠...
그런데, 영화에서는 털지 않는 것으로 바꿔버렸습니다. 그러면서 이를 본드가 알아채는 장면이 구성의 반전으로도 작용하게 되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티븐 스필버그

또 하나의 007 영화의 icon인 Aston Martin도 이 영화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소설 GF에서는 Aston Martin DB Mark III가 나오고, 이를 영화화하는 과정에서 DB5를 사용했는데, Aston Martin은 이 영화가 나오고 나서 엄청난 판매고를 올리며 부도 위기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왼쪽 사진은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입니다. GF를 보고나서 정말 007 영화의 감독을 맡고 싶어했던 분이죠. [Indiana Jones 3편]에서 Sean Connery가 캐스팅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스필버그 감독의 애차가 Aston Martin입니다. GF의 영향이죠. (본인도 인정한 사실입니다)

이 영화는 007 시리즈에 있어서 훌륭한 구성을 보여준 영화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구성에 있어서의 몰락의 시초가 되기도 했습니다. [Dr. No]에서도 약간의 SF적 모습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정도가 덜했습니다. 하지만, GF에서는 전작 2편의 액션을 버리고, 블럭버스터적인 접근을 해서 훌륭한 결과를 낳았습니다만, 이후 007영화가 Spy/Thriller 장르를 버리고 우주 여행을 다니거나 싸구려 농담이나 흘리면서 여자랑 노닥거리기만 하는 단초가 된 것도 사실입니다.

소설과 영화를 비교하면 수많은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큰 부분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소설에서는 GF와 카드게임을 하는 Dr. Du Pont의 의뢰를 받고 GF의 사기도박을 알아채지만, 영화에서는 M의 명령에 의해 감시하다가 알아챔

  2. 소설에서 Felix Leiter는 Live And Let Die에서 팔과 다리를 잃은 뒤 사설탐정으로서 등장하지만, 영화에서는 여전히 CIA 요원임

  3. 소설에서는 Jill Masterson이 죽었다는 것을 전해듣지만, 영화에서는 직접 목격함(사실, 사람은 몸에 금박칠했다고 죽지 않음)

  4. 소설에서는 Bond가 Tilly Masterson의 차를 톱날로 부숴버리는 장면은 없음

  5. 소설에서 Tilly는 발각되고나서 한참 뒤에 죽지만, 영화에서는 발각되자 마자 바로 죽음

  6. 소설에서는 Pussy Galore와 Tilly가 레즈비언으로 나오고, Pussy가 Tilly에게 끌리는 것으로 나오지만, 영화에서는 레즈비언에 대한 언급도 없고, Tilly는 워낙 일찍 죽어 알 수 없음

  7. 소설에서는 Bond가 회전톱으로 고문당하지만, 영화에서는 레이저임 (레이저 무기가 실용적으로 사용된 최초의 영화임)

  8. 소설에서 GF는 유럽에서 미제 핵탄두를 구입하지만, 영화에서는 중국 공산당 요원에게 핵탄구를 구입함(묘하게도, 영화 개봉 직후 중국은 핵무기 개발 성공을 발표했음)

  9. 소설에서는 핵탄두로 금고벽을 부수고 들어가지만, 영화에서는 레이저로 벽을 부숨

  10. 소설에서는 마지막 비행기 씬에서 Oddjob가 유리창을 뚫고 나가며, GF는 Bond가 목졸라 살해하고, Pussy가 비행기를 착륙시키나, 영화에서는 Oddjob은 이미 죽었으며, GF가 유리창을 뚫고 나가고, 둘은 낙하산을 타고 탈출함

  11. 소설에서 GF는 SMERSH의 요원이고, 마지막 장면에서 소련 구축함이 그를 데려가려고 기다리고 있으나, 영화에서는 freelancer임

다음은 영화 Goldfinger의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들입니다.

  1. 오프닝에서 Capungo 역을 맡기로 한 배우는 촬영 전날밤 체포되어 촬영할 수 없었음

  2. Cec Linder(Felix Leiter)가 Miami Beach에서 촬영한 유일한 배우였으며, Connery와 Frobe가 나오는 장면들은 sound stage에서 촬영되었음

  3. Alfred Hitchcock은 기관총을 사용하는 할머니가 나오는 장면에 대해 Guy Hamilton에게 칭찬을 보냈음

  4. Ian Fleming은 Solo 라는 제목의 텔레비전 시리즈의 부컨설턴트(minor consultant)였는데, Brocolli와 Saltzman이 이 사실을 들었을 때 Goldfinger에 등장하는 갱스터 Solo와 혼동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그 이후에 그 시리즈의 이름이 "The Man From U.N.C.L.E."로 바뀌었음

  5. Harold Sakata(Oddjob)와 Richard "Jaws" Kiel(죠스)는 스파이 풍자물인 [Mod Mission3]에서 같이 주연을 맡았음

  6. Sean Connery는 현재에도 [Goldfinger]에서 배경으로 사용되었던 골프 클럽의 회원인데, 그는 이 영화에서 처음으로 골프를 접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