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루빅스큐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루빅스큐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5월 12일 수요일

[렛미인] 리메이크 포스터에 나온 큐브

충격의 스웨덴 영화 [렛미인](원제: [Let The Right One In])이 헐리우드에서 리메이크 된다.
감독이 [클로버필드]의 맷 리브스, 주연 여배우가 [킷애스]의 크로 모레츠라 왠지 원작의 서늘함은 보이지 않을 것 같지만...

아무리 찾아봐도 원작의 포스를 느낄 수 없는 스틸. 나의 Eli는 그렇지 않다능!!


위의 스틸보다 더 나를 사로잡은(?)건 아래의 스틸.
전체 분위기는 아오안이고, 이 스틸 역시 원작의 포스는 느껴지지 않지만... 큐브가 나온다!

그렇다!! 큐브가 나온다!!


큐브 부분을 확대해서 똑같은 모양을 만들어보기로 했다.


그런데...


Cube Explorer로 비슷한 패턴을 계속 만들어봤는데... 이 큐브의 모양은 돌려서 나올 수 없는 형태다.
아... 원작 속의 큐브도 마찬가지더니... 리메이크... 너도냐!

2009년 9월 9일 수요일

흰발곰 님의 PLL 수정

PLL에서는 총 6개의 공식(엣지 2개, 코너 2개, 사슬형 A-1, B-2)에서 버그가 발견되었다. (원본링크)


1. 엣지 PLL 시계방향: U가 누락됨

R'UR'U'R'U'-R'URR2R'UR'U'R'U'-R'URUR2



2. 엣지 PLL 반시계방향: 일부수정

R2U'R'U'RU-RUR2R2U'R'U'RU-RURU'R



3. 코너 PLL 반시계방향: 코너 PLL 시계방향과 공식 바뀌었으며, '를 빼야 됨

(r')R2D2-R'U'R-D2-R'UR'(r')RU'R-D2-R'UR-D2R2



4. 코너 PLL 시계방향: 코너 PLL 반시계방향과 공식 바뀜

(r')RU'R-D2-R'UR'-D2R2(r')R2D2-R'U'R-D2-R'UR'



5. 사슬형 A-1: 일부 수정

LUL'(u)-R2U'w-RU'R'U-R'UwL'wLUL'(u)-R2U'w-RU'R'U-R'UwR2



6. 사슬형 B-2: (u)가 누락됨

R'U'R-R2Uw-R'URU'-RU'wR2R'U'R(u)-R2Uw-R'URU'-RU'wR2


이런 수정이 포함된 버전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 9월 8일 화요일

흰발곰 님의 OLL(3) 수정

OLL(3)에는 총 2개의 공식(50, 54번)에서 버그가 발견되었고, 43번에서는 설명에서 버그가 발견되었다. (원본링크)


1. 43번: 설명에서 불필요한 '가 3번 쓰임

L'U'B'-U'B'L'L'U'B'-UBL



2. 50번: '가 누락됨

R'wU-Rw2U'R'w2U'Rw2U-RwR'wU-Rw2U'R'w2U'Rw2U-R'w



3. 54번: R'U'를 빼야 됨

RwU2-R'U'RUR'U'R'U'RU'-R'wRwU2-R'U'RUR'U'RU'-R'w


이 수정이 포함된 버전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흰발곰 님의 OLL(2) 수정

OLL(2)에는 총 2개의 공식(29, 31번)에서 버그가 발견되었다. (원본링크)


1. 29번: U 옆에 ' 가 누락됨

R'FRF'-RU'2R'U'(u)-L'ULR'FRF'-RU'2R'U'(u)-L'U'L



2. 31번: L 옆에 ' 가 누락됨

L'U'BU-LU'LB'LL'U'BU-LU'L'B'L


이 수정이 포함된 버전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흰발곰 님의 OLL(1) 수정

OLL(1)에는 총 4개의 공식(2, 3, 4, 14번)에서 버그가 발견되었다. (원본링크)


1. 2번: U'2 가 두 번 누락됨

FRUR'F'-FwRUR'F'w → FRUR'U'F'-FwRUR'U'F'w



2. 3번: U'가 누락됨

RUBU'B'R'-U2-FRUR'F'RUBU'B'R'-U2-FRUR'U'F'



3. 3번: U'가 누락됨

RUBU'B'R'-FRUR'F' → RUBU'B'R'-FRUR'U'F'



4. 14번: R'를 빼야 됨

R'F-RUR'L'w-U'RUB'U'R'F-RUL'w-U'RUB'U'



이 수정이 포함된 버전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디버깅은 했지만, 이걸 언제 다 외우나... OTL

흰발곰 님의 F2L 수정

기존에 내가 사용하던 F2L은 최소 회전수를 골라서 선택한 것이었다.
문제는 최소 회전수 == 최소 시간결코 아니라는 거.

알면서도 게으르니즘으로 그냥 넘어갔는데, 마음을 고쳐먹고 다시 외우기로 함.
하지만, (나에겐 레퍼런스인) 흰발곰님의 F2L에 버그가 있다. OTL

그래서 디버깅 해드린다. (사실 내가 외우기 위한 거지만, 왠지 흰발곰님을 위해 이 한 몸 바치는 분위기? / 원본링크)


1. B3: 일부 수정

(RU'R'U2)(u')(R'U'R)U(RUR')(RU'R'U2)(u')(R'U'R)U'(R'UR')


2. U5: 누락된 U' 추가

(RUR')U(RUR')(FR'F'R)(RUR')U(RUR')U'(FR'F'R)


3. R2: 누락된 공식 추가

U(u')(R'U2R)U(u')(R'U2R)U2(R'UR)


4. B5: 세 줄로 나뉘어진 것을 두 줄로 연결 (공식은 정확함)


이런 수정이 포함된 버전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2L은 외우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는 것이라 나름 쉬운 편임. (응?)


참, 흰발곰님. 공식 수정도 수정이지만, 일부 글자는 알아보기 어려워요.
예를 들면, U'R에서 '과 R이 붙어있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제가 올리는 내용엔 이것도 일일이 수정!)
그리고, 혹시 다른 포맷의 원본에서 jpeg로 변환하신 거라면 jpeg보단 png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2009년 9월 2일 수요일

F2L, OLL, PLL 레퍼런스 링크 (흰발곰님 블로그)

뭐... 가서 일일이 찾아다녀도 되지만, 게으르니즘을 이기지 못해 내 블로그에다 링크를 건다.


덧. 그런데, 각 공식들에 오타가 조금씩 보인다. 그걸 고친 뒤에 외워야겠다. OTL.

OLL/PLL 도전 시작!

그동안 사용하던 아류 공식의 한계가 느껴졌다.

운이 좋아야 30초대 초반이고, 30초대 말이나 40초대(또는 그 이상)에서 머무는 기록...
뭔가 부자연스러운 움직임들로 구성된 공식도 회전수가 작다는 이유로 사용하는 어색함...
섞인 상태에 따라서 실력보다는 운에 좌우되는 경우의 수들...

그래서 OLL/PLL에 도전하기로 했다.
또한, 이번 기회에 F2L 공식들도 좀 더 빠른 공식을 찾기로 했다.

일단 큐브를 하나 지르고, 회사에 부탁해 자전거 기름을 좀 발랐다.
그리곤 흰발곰 님의 블로그에서 F2L, OLL, PLL 공식들을 몽땅 뽑았다.

다시 시작하는 마음으로 F2L부터 새롭게 익혀야겠다. 아자자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미친 공식을 외우는 거다!!!

2009년 7월 29일 수요일

새로 입수한 큐브(Mirror Cube) 맞추기

새로 입수한 큐브에 대한 적응이 끝났다.
스피드 솔루션은 사용할 수 없어 기본 솔루션으로 맞춰봤다.

0. 흐트러진 상태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상태로도 굉장히 화려하지만, 균형이 좀 안 맞음




1. 한면 맞추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면만 맞춰도 장식품의 포스가 느껴짐




2. 2nd layer까지 맞추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F2L을 사용한 건 아니고 기본 솔루션으로 하나하나 끼워넣음




3. 마지막 면 십자 맞추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석의 네 블럭 외엔 다 위치를 찾음




4. 마지막면 평평하게 만들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네 귀퉁이가 완전히 제 위치를 찾지는 못하고, 평평하게만 만들어진 상태임




5. 완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까이꺼 대충~



2009년 7월 28일 화요일

아주 새로운 루빅스 큐브 입수!

이웃 블로거인 oneniner 님이 홍콩 여행을 다녀오셨다.
여행 선물로 무려 루빅스 큐브를 사오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데 뭔가 이상한 큐브이다


그런데, 각 면이 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크기로 구분된다.
처음엔 좀 헤맸지만, 감을 잡았다.

한동안 좀 갖고 놀아야 되겠다.

재미있네, 이거...

2009년 6월 22일 월요일

네이버 캐스트의 옛날신문에서 본 루빅스 큐브 관련 옛날 기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 NHN CORP. All rights reserved.

네이버 캐스트에 올라온 큐브 관련 기사 (저작권법이 무서워 동아일보의 신문기사는 캡쳐하지 못했음 ㅠ.ㅠ)


네이버 캐스트의 옛날신문에 추억의 장난감 창고라는 제목이 떴다.
아마 이 무렵 저런 기사를 통해 큐브의 존재를 알고 처음 접했던 것 같다.

1981년 9월 8일의 동아일보에는 <魔法의 六面體 루빅스 큐브 熱風>이란 기사가 났었고,
1981년 10월 5일의 동아일보에는 <魔法의 루빅스 큐브 국내 최단기록은 42초>란 기사가 났었다.

지금 우리나라 아마추어 고수들의 기록이 15~20초대이고, 국제대회 우승권이 10초대 초반이란 점을 생각하면 격세지감이 들 지경임.
나같은 아마추어 중수도 42초는 안 걸리니까... ^^;


2008년 2월 15일 금요일

내가 갖고 있는 루빅스 큐브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많은 매니아 분들 보면 큐브를 작게는 10개 단위에서 많게는 수백개를 갖고 계신 분들이 계십니다만…
저는 그 정도의 매니아는 아니고 취미로 하는 정도이고, 5개를 갖고 있습니다.
(아니, 갖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1주일 뒤면 가운데 하나 빼고는 몽땅 분양됩니다.

맨 왼쪽부터 1~5번이라 부르면…


1. 국기 큐브

맞출 때는 센터 블럭을 신경써야 하기 때문에 스피드 솔루션은 단 하나도 적용할 수 없는 큐브입니다.
게다가, 좀 잘 터지는 바람에 항상 조심조심…

이 큐브는 짱이소유권을 워낙 강하게 주장하는 바람에 그냥 넘어갔습니다.



2. 투명 큐브

스피드 큐빙이 가능하다는 구라에 속아서 구매한 큐브입니다.

냉정하게 말해서, 보고 즐기는 큐브로서만 손색이 없습니다. 일단 멋집니다!
하지만, 스피드 큐빙에는 좀 무리가 있습니다.

투명 재질이 약간 미끄러워서 3번에 비해서 약 5초 정도 기록이 더 나옵니다.

다음 주말 QAOS 모임 때 사은품으로 분양됩니다.



3. 평범한 큐브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국산 블랙 큐브입니다.

평범해보이는 (즉, 싸보이는) 외모와는 달리, 터지지 않고 잘 미끄러지지 않아 스피드 큐빙이 가능합니다.
사실, 옐로우 큐브가 가장 스피드에 좋기는 한데, 가끔 색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아 분양했습니다.

1주일 후면 이것제 곁에 있을 겁니다.



4. 3x3x3 열쇠 고리 큐브

원래 제가 열쇠고리로 사용하려고 샀는데, 막상 보니 열쇠고리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크더군요.
(이 제품은 단순한 싸구려는 아닙니다. 터지지도 않고 잘 돌아갑니다)

그래서, 이 녀석도 2번과 함께 다음 주말 QAOS 모임 때 사은품으로 분양하기로 했습니다.



5. 2x2x2 휴대폰 고리 큐브

제 블로그 아이콘이기도 한 2x2x2 큐브입니다.
2주일 전에 조카에게 그냥 넘어갔습니다.

원래 워드 시험 잘 보라고 미끼로 던졌는데, (워낙 공부를 안해서 안심했었습니다) 갑자기 독품고 공부하더니 먹어버렸습니다.




2008년 1월 15일 화요일

My solution 14(마지막) : Final layer corner 블럭 정위치

#13 : Final layer 윗면 모양만 맞추기에 이어서 마지막으로 4개의 corner 블럭을 정위치에 넣는 공식입니다.

기본 솔루션을 보시면 한 corner를 두고 나머지 3개의 corner를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공식 2가지가 나옵니다.
하지만, 총 경우가 4가지밖에 되지 않으므로 공식 4개를 따로 외우는 편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기본 솔루션에 있는 시계/반시계 방향 공식은 12회전인데, 이 공식은 9회전입니다.
(게다가, 이 공식이 훨씬 덜 지루합니다)

#1 : B'RB'L2BR'B'L2B2 (9)

#2 : BL'BR2B'LBR2B2 (9)

#3 : R2L2DR2L2U2R2L2DR2L2U2 (12)

#4 : RB'R'FRBR'F2L'BLFL'B'L (15)

#1은 기솔에 있는 12회전공식(RUBLB'R'BL'B'RU'R')보다 짧지만, 똑같은 결과를 보여줍니다.
물론… 그냥 외우셔야 합니다.

#2역시 #1과 마찬가지로 암기과목입니다.

#3은 길어보이지만, 몇 단계로 묶어서 보면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우선 똑같은 6회전 공식(R2L2DR2L2U2)이 2번 반복됩니다.
그리고, 이 6회전 공식은 [R2L2]D[R2L2]U2로 쪼갤 수 있습니다.
※ [] 기호는 안에 포함된 공식의 순서를 바꿔도 무방하다는 뜻입니다.
이것을 감안해서 돌려보시면 아주 쉽게 외울 수 있습니다.

#4는 사실, 최적화된 솔루션은 14회전입니다.
하지만, 외우기도 어렵고, 1회전으로는 별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이 공식으로 가겠습니다.





이제 제가 알고 있는 Rubik's Cube 공식을 몽땅 다 정리했습니다.
다음에는 마지막 편으로 모든 공식들을 PDF 파일 1개로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그럼, Happy Cubing!

2008년 1월 14일 월요일

My solution 13 : Final layer 윗면 모양만 맞추기

My solution 12 : Final layer 십자맞추기 (4/4)에 이어서 마지막면 윗면 모양만 맞추기입니다.

저의 솔루션은 기본적으로 Fredich, Lars 등의 전문가용 솔루션이 아니라 "누구나 쉽게 외울 수 있는 좀 빠른 솔루션"을 기본 목표로 했기 때문에 역시, 여기서도 한방에 가는 솔루션은 없습니다.

물론, 여기까지의 과정과 마찬가지로 이번 솔루션 역시 기본 솔루션의 최적화는 똑같이 이루어집니다.

마지막면 edge 블럭 십자가 정위치했을 때 각 corner 블럭의 모양은 총 8가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  중 맞춰야 할 경우는 7가지가 있습니다. 각 상황의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 R'F'L'FRF'LF (8)

#2 : R'F'LFRF'L'F (8)

#3 : L'URU'LUR'U' (8)

#4 : RU'L'UR'U'LU (8)

#5 : FRUR'U'RUR'U'RUR'U'F' (14)

#6 : R2D'RU2R'DRU2R (9)

#7 : RB'R'FR2BRF'RU2RU2R'U2 (14)

#1~#5는 많이 보던 그림입니다. 그렇죠? 기본 솔루션 (신광사)에 나오는 그림들입니다.
기본 솔루션 보시면 #1의 공식 하나로 다 해버립니다. 최대 같은 공식을 3번까지 사용해서 말이죠.

#1은 바로 그 공식이므로 긴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앞의 4회전(R'F'L'F)과 뒤의 4회전(RF'LF)이 대칭을 이룹니다. (엄밀하게는 완벽한 대칭은 아닙니다)

#2는 #1과 L의 방향만 반대입니다. 역시 앞의 4회전(R'F'LF)과 뒤의 4회전(RF'L'F)이 대칭을 이룹니다.
기본 솔루션에서 왜 같은 공식을 2번이나 반복시키는지 모르겠습니다.

#3과 #4는 서로 좌우대칭구조이며, #3은 앞의 4회전(L'URU')과 뒤의 4회전(LUR'U')의 대칭으로 또 나뉩니다.

#4는 앞의 4회전(RU'L'U)과 뒤의 4회전(R'U'LU)으로 나누면 외우기 쉽습니다.

#5는 조금 길고 어려워 보입니다만, 맨 앞의 F와 맨 뒤의 F'를 빼면 RUR'U'3번 반복됩니다.

#6과 #7은 특별히 쉽게 이해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냥 외우셔야 합니다. (그래봤자 공식 딱 2개입니다)

다음에는 마지막회로 마지막 corner 블럭을 정위치하는 공식을 설명하겠습니다.
이제 거의 다 왔습니다.





아래 동영상은 뽀나스~
다음 뒤져보니 이 동영상에 자기 블로그 주소 갖다 붙여놓은 동영상 천지더군요.
기본적인 양심은 있어야겠죠?


M.I.B spin-off : Revenge of Rubik's Cube


2007년 12월 28일 금요일

인간 vs 로봇 Rubik's Cube 대결 동영상

Rubik's Cube를 인간과 로봇이 맞추는 동영상입니다. (한손 vs 로봇)
주인공은 다음 큐브로 보는 세상 카페의 조원방 님이고, 2006년에 영국에서 촬영한 것입니다.

로봇은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한 큐브 이미지를 읽어들여 Cube Explorer를 이용해서 맞추는 구조입니다.

조원방 님이 섞은 큐브를 로봇에게 주고, 스스로 섞은 큐브를 한 손으로 맞춰서 대결을 펼칩니다.
과연 승리는 누구의 것일까요?



대단하죠? 현재 조원방 님은 군복무 중이시랍니다. /^.^ (추-ㅇ성)

2007년 12월 27일 목요일

My solution 12 : Final layer 십자맞추기 (4/4)

My solution 11 : Final layer 십자맞추기 (3/4)에 이은 십자맞추기 마지막편(4/4)입니다.
마지막 면의 edge 블럭이 이미 십자모양을 형성했지만, 블럭의 위치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의 공식입니다.

   #1 : R'U'RU'R'U2R (7)


   #2 : F'LF'D2BR'B'D2F2L' (10)

이 2가지밖에 없습니다.

윗면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야 하는 경우에는 U2 하고 나면 #1로 바뀝니다.
※ #1을 두 번 사용해도 되고, #1을 좌우대칭(Sym : LUL'ULU2L')으로 해도 되기는 합니다만...

#1은 기본 솔루션에 나오는 공식이라 더 설명한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2는 #1 + U + #1 (15)로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편이 회전수가 훨씬 작습니다.

다음편에서는 마지막 면 corner 블럭을 윗면이 보이도록 하는 공식을 다루겠습니다.

My solution 11 : Final layer 십자맞추기 (3/4)

My solution 10 : Final layer 십자맞추기 (2/4)에 이은 십자맞추기 (3/4)입니다.
이번에는 마지막 면의 edge 블럭이 일자모양인 경우입니다.

일자인 경우의 edge 블럭의 위치는 총 4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4가지 경우에 드는 경우가 아니면 U/U'/U2를 적용하면 4가지 경우 중 하나가 됩니다.

   #1 : FUF'UFU'RU'R'F' (10)


   #2 : URBU'B'R'U'R2B'R'BR' (12)


   #3 : FRUR'U'F' (6)


   #4 : B'R'U'RUB (6)

#1은 F + UF'UFU'RU'R' + F' 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운데의 8회전은 UUU'U'과 FF'RR'을 하나씩 섞은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약간 복잡하죠?

#2는 URBU'B'R' + U'R2B'R'BR'로 나눌 수 있습니다.
    어디서 본 것 같죠? 네. My solution 10 : Final layer 십자맞추기 (2/4)의 #3에 나왔던 6회전입니다.
    그 때도 지금도 서로 마주보는 두 edge 블럭을 맞바꾼다는 공통점을 기억하면 외우기 쉽습니다.

#3은 기억나시죠? 아니라구요? 헤헤. Anti-N입니다. 방향이 달라졌을 뿐입니다.

#4도 마찬가지입니다. Sym-Anti-N입니다.

※ N 계열에 대해서는 My solution 8 : Final layer 십자맞추기 개요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다음편은 Final layer 십자맞추기의 마지막 편인 edge 블럭이 십자모양을 형성한 경우입니다.

My solution 10 : Final layer 십자맞추기 (2/4)

My solution 9 : Final layer 십자맞추기 (1/4)에 이어 십자맞추기 (2/4)입니다.
이번에는 마지막 면의 edge 블럭이 기역 모양인 경우에 대해 기술합니다.

점 모양인 경우에는 N 계열의 조합만으로 최적화된 결과를 볼 수 있었지만, 지금부터는 다시 암기과목입니다.
하지만, 공식이 대부분 짧기 때문에 부담 없이 외울 수 있을 것입니다.

   #1 : RUR2FRF2UFU2 (9)


   #2 : L'RBRBR'BRB2R2L (11)


   #3 : URBU'B'R'F'UF (9)


   #4 : RB2L'B'LB'R' (7)


   #5 : RUBU'B'R' (6)


   #6 : UR'U'F'UFR (7)

#1은 9회전인데, 잘 보시면 3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고, 일정한 패턴이 있습니다.
   RUR2  FRF2  UFU2 로 나눠서 보면 규칙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R, F, U 3개의 면만 시계방향으로만 돌리면 되기 때문에 상당히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공식입니다.

#2는 11회전으로 이번 공식 중에서는 가장 길지만 2가지 특징만 알면 외우기 쉽습니다.
   a. 맨 앞(L')과 맨 뒤(L)를 제외하면 R, B의 2개 면만 돌림
   b. 딱 1번의 예외(R')를 제외하면 몽땅 시계방향으로만 돌리면 됨

#3의 앞부분 6회전(URBU'B'R')은 N 계열과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다음편에서 다시 언급하겠지만, 두 edge 블럭을 맞바꾸는 상황에서 비슷한 공식이 한 번 더 등장합니다.

#4는 짧지만 다소 외우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B 블럭을 계속 반시계방향으로만 돌린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5는 어디서 본 적 없나요? 네. N 입니다. 저 경우에는 N 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6도 잘 보시면 친숙합니다. 네, Sym-N입니다.
   사실은 #5와 좌우대칭인데, 공식을 적을 때 기역자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 저렇게 복잡한 모양이 되었습니다.
   맨 앞의 U를 하고 나서 큐브를 180도 돌리면 #5의 좌우대칭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만약 N 계열이 기억나지 않으면 My solution 8 : Final layer 십자맞추기 개요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Enjoy the cube!

#5, #6 두 공식이 편집 과정에서 누락되어 수정해서 올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