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다이아몬드는 영원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다이아몬드는 영원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1월 14일 목요일

분쟁지역 다이아몬드와 007

분쟁지역 다이아몬드 (또는 피의 다이아몬드)

서아프리카 내전지역에서 채굴되어 불법거래되는 미가공 다이아몬드.

아프리카 분쟁지역에서 반군 또는 정부군이 무기 구입 등을 위해 국제시장에 내다파는 다이아몬드를 말한다.

질 좋은 광맥으로 알려진 서아프리카의 주요 다이아몬드 생산국인 시에라리온, 앙골라, 콩고 민주공화국 등은 이후 내전으로 유혈분쟁이 그치지 않았다. 이들 나라의 대통령이나 장성, 반군 지도자들이 다이아몬드 광산 소유권자이거나 채광회사 대주주로, 불법채광으로 획득한 부로 전투에 투입했기 때문에 다이아몬드는 이 지역에서 전쟁도구였다. 이 지역의 다이아몬드 분쟁 때문에 수백만 명이 목숨을 잃고 난민이 발생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글에서 불법채취된 다이아몬드는 런던 등 다이아몬드 중심지와 연결되었다. 피의 다이아몬드는 국제 테러리스트의 자금 세탁에도 활용되어 9·11 미국 테러 사건을 일으킨 알카에다 조직이 이를 통해 테러 자금을 조성했다고 알려졌다.

2003년 다이아몬드를 생산·거래하는 전 세계 61개국은 국제연합(UN)의 지원을 받아 분쟁의 원인이 되는 피의 다이아몬드 거래를 막기 위해 원산지와 수출상 표기를 의무화하는 킴벌리 프로세스 협약을 채결했다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이언 플레밍의 4번째 007 소설 <Diamonds are Forever>를 기반으로 만든 영화 [다이아몬드는 영원히]는 EON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007 영화 중에서 오리지널 제임스 본드 션 코너리가 마지막으로 출연한 007 영화라는 상징성을 갖는 영화이다.

그런데, 그 제목은 원래 "A diamond is forever"라는 드비어스 사의 광고 카피를 변형해서 만든 제목이다.

1948년 N W Ayer의 Frances Gerety가 드비어스를 위해 만든 광고카피


드비어스는 100년 이상의 기간동안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다이아몬드를 모조리 끌어모아 공급량을 통제하여 가격을 조정해왔다.
드비어스는 비록 분쟁지역 다이아몬드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드비어스 카르텔이 확립한 다이아몬드업계의 방침이 이 길고도 잔인한 피의 소용돌이를 만든 것이다.

한편,
"A diamond is forever"라는 광고카피는 1948년에 만들어졌는데, 이 카피가 널리 알려진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영화 [다이아몬드는 영원히]였다.
결과적으로 분쟁지역 다이아몬드에 (비록 상당히 간접적이긴 하지만) 007 영화가 일조한 꼴이 되어버린 것이다.

007 영화에 제작진은 이 점을 알고있었던 듯 한 편의 007 영화에서 이 분쟁지역 다이아몬드의 부도덕성을 언급한다.
그 영화는 다름 아닌 최악의 막장 007 영화 [어나더데이]였다. OTL.

이 영화에서 북한군 문대령은 유전자를 조작하여 백인인 구스타프 그레이브스(GG)로 변신()하여 다이아몬드 유통업을 하는데, 이 다이아몬드가 바로 분쟁지역 다이아몬드였던 것이다. (영화에서는 직접적으로 시에라리온을 지목함)

GG가 판매하는, 시에라리온 산 분쟁지역 다이아몬드를 확인하는 제임스 본드


하지만, 이런 멋진 자기반성의 소재 선택은 결국 아무런 빛을 보지 못한다.
(영화 자체는 물론이고) 대본의 완성도가 너무나 낮은데다가 불필요한 CG과유불급의 셀프 패러디로 인해 아무도 이런 진중한 소재를 이해하지 못했던 것이다.


※ 참고서적:
「다이아몬드 잔혹사(Blood diamonds)」그레그 캠벨 저, 김승욱 역, 작가정신

2009년 9월 28일 월요일

네덜란드 여행 #3 마두로담 (Madurodam / 미니어처 마을)

게오르그 마두로(George John Lionel Maduro)라는 청년이 있었다. 그는 1916년 7월 15일에 네덜란드 령 쿠라사오에서 유태계 부모의 외아들로 태어났으며, 1945년 2월 9일 독일 다카우(Dachau) 포로수용소에서 티푸스로 사망했다.

그는 네덜란드의 라이덴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한 뒤 1939년 9월 21일 예비군 장교를 지원[footnote]우리나라 여행 관련 자료들엔 소년병이라고 간단히 적어둔 자료가 많던데, 그는 second-lieutenant-reserve 즉, 예비군 소위로 임관했다.
즉, 그는 소년도 아니고 병도 아니었다.[/footnote]하여 네덜란드 전쟁에 참전하였고, 전투 중 독일 육군에게 체포되어 수감된지 1년 반 뒤 석방된다.
석방 후 유태인들은 다윗의 별을 달고 다니라는 명령을 거부하고 저항군에 가담하였으며, 연합군 파일럿을 스페인을 경유, 영국으로 탈출시키는 임무를 수행하다 체포되어 다시 수감되고 탈출한다.
그는 다시 저항군에 가담하여 활동하였으나 다시 게슈타포에게 체포되었다.
그는 자브뤼켄(독일 남부. 프랑스 국경 주변)에 수감되었다 다카우로 이송된 뒤 1945년 2월 9일 티푸스로 사망하였는데, 이 캠프는 2달여 뒤인 4월 29일 미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1946년에 네덜란드 왕국은 마두로에게 최고의 영예인 4급 기사작위를 수여하였다.[footnote]우리나라 같았으면 그러니까... 좌파에 해당하는 직위인 거다. 대한민국 지.못.미.[/footnote]

그가 사망한 뒤 그의 부모는 사재를 털어 아들을 기리는 소형 도시를 건설하고 이를 마두로담(Madurodam)이라 불렀다.

마두로담이 완공된 1952년, 베아트릭스 공주(현 네덜란드 왕국 여왕, 당시 14세)가 마두로담에 놀러온 이후 그녀가 마두로담의 시장이 되었으며(즉, 마두로담은 네덜란드에서 독립적인 "시"의 권한을 갖고 있음) 이후 그녀가 여왕이 된 후 시장직을 내어놓고 명예시장으로만 활동하며, 현재는 헤이그의 학생 25명으로 구성된 의회에서 시장을 선출한다.

풍차 마을을 떠나 우리가 향한 곳은 미니어처 마을인 마두로담(Madurodam).

이곳은 네덜란드의 명소들을 미니어처로 만들어놓은, 명실상부한 네덜란드 최고의 관광 명소중 하나다.
(그 죽일놈의 암스테르담 사창가 말고 이런 곳을 봐야 하는 것이다!)
이곳의 모든 건물은 실제 크기의 1/25로 축소되어 전시되고 있다.

또한 이 곳은 전쟁기념관의 의미도 동시에 갖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언제나 그렇듯이, 일단 입장하기 전에 입구 명패를 하나 찍어줘야 되는 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두로담 입구. 아직은 실감이 안 남.


그런데, 입구 왼쪽을 보니 웬 소년(?)이 둑을 막고 있다.
그런데, 왼손으로 다음 걸 막으려면 정말 불편할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화는 동화일 뿐. 네덜란드 사람들은 그냥 동화라고만 생각한다고 함.


입장료를 내고(물론 유료다) 들어가보니 펼쳐진 전경이 굉장히 어색하다.
실제 크기의 사람들과 1/25로 축소된 건물이 섞여있으니 뭔가 굉장히 낯설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인 그라운드로 내려가기 전에 마두로 씨의 생가를 볼 수 있다.
이 생가는 1990년대 대규모 증축을 할 때 만들어졌다(생가는 정확히는 1993년에 만들어짐).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두로담의 건물들은 무척 정교하게 만들어져있다.
옆에 사람이 있고 없는 것에 따라 보는 느낌이 완전히 다르다.
사람이 옆에 있으면 무척 어색하면서도 눈이 즐겁다. (물론 미니어처 마을은 언제나 그렇다)

안타까운 건 이 명소들의 "원본"을 잘 모르기 때문에 깊이있게 와닿지가 않는다는 거...


놀이공원의 미니어처가 있는데, 10센트 동전을 넣으면 동작하기도 한다.
(이곳 뿐만 아니라 어린 아이들의 코묻은 돈을 노리는(?) 곳이 몇 군데 있다)
아이들이 특히 좋아하는 코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건물 뿐만 아니라 해변도 있다.
어느 해변이신지는 모르겠지만, 무척 그럴싸하다.


그런데, 물 속에는 실제로 물고기가 있다. 이 물고기들 덕분에 현실감이 좀 떨어졌다.
또, 거미줄이 쳐진 곳이 있는데, 이 역시 뭔가 아쉽다.
아니, 거대 물고기와 거대 거미의 습격을 느껴야 하나?
(역시 이딴 생각을 하는 것을 보면 난 한국인임이 분명하다. 그냥 즐기면 더욱 즐거울 것을!)


재미있는 것은 마두로담은 실제 있는 곳만을 미니어처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만들어질 곳도 만든다는 것이다.
이 역은 향후 만들어질 역이라고 하는데, 역을 만드는 입장에서는 홍보효과도 톡톡히 되는 것 같다.
두 대의 스크린은 역의 기능을 알리는 화면을 계속 보이고 있다.


건물에 비친 모습을 보면 즐겁다.
사람이 안 비친 사진을 보면 커다란 건물로 보이는데, 막상 사람이 비치면 만만해(?)보인다.


군함이 한 척 있더라.
이 군함은 프리깃인 De Zeven Provincien함이다. 네덜란드 군함 답게 네덜란드 레이더인 APAR와 SMART-L 이 눈에 띈다.
언뜻 보니 독일의 작센(Sachsen)급 같아보였는데, 작센보다 약 400톤이 더 나가는 약간 다른 급이다.
레이더는 물론 소나까지도 거의 같은 모델인데, 주포(127mm)가 좀 더 크다. (작센은 같은 OTO사의 76mm 사용)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알려지긴 작센이 더 잘 알려져있는데, 사실 이게 1년 먼저 건조되었음.


제임스 본드는 [다이아몬드는 영원히]에서 다이아몬드 밀수를 추적하는데, 이 다이아몬드들은 네덜란드 운하를 통해 배달되는 것으로 나온다. 그래서 그냥 찍어봤다. (그게 마두로담과 무슨 상관 있냐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암스테르담 공항.
대한항공 비행기는 활주로를 따라 실제로 움직이고 있는 중이다.
물론, 대한항공 뿐만 아니라 다른 비행기들도 시간이 되면 활주로를 따라 이동한다.
(대한항공이 뭐가 예쁘다고 특혜를 주겠는가)


마두로담은 야외에 오픈되어있어 새들이 많이 날아온다.
새들이 날아들면 역시 리얼리즘은 바이바이다.
아니면 거대 새떼의 습격이 되려나? ㅎㅎ


축구장이 있는데, 경기는 한창 진행중이고, 오렌지 군단이 막 골을 넣은 상태였다.
네덜란드 화이팅! (그런데, 우리나라랑 하는 건 아니겠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풍차의 나라 네덜란드에서 미니어처 풍차를 안 찍으면 곤란하다.
이왕 찍는 거 다양한 각도에서 다양한 상황으로 찍어봤다.
같은 곳을 찍은 것들인데, 사람이 있을 때랑 없을 때랑 느낌이 전혀 다르다.
여기에선 역시 눈이 즐겁다.


이렇게나 눈이 즐거운 곳에서 시간을 잘 보낸 뒤 우린 헤이그의 해변으로 향했다. (4부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