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구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구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11월 30일 화요일

JW Player 3.1c 재업데이트

그동안 JWPlayer가 5.3으로 업데이트되었다.
플래쉬와 더불어 HTML5를 지원하는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

설치는 아래 파일을 다운받아 압축을 푼 뒤에 스킨 업로드를 통해 업로드 하고 나서,


스킨의 <body> 영역 맨 위에 아래의 코드를 삽입하면 된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블로그 이미지 주소/j_FLVPDF.gif"></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LVPDFHelper.all(
    1,
    1,
    680, 500,
    "http://블로그 이미지 주소/s_player.gif");
//]]>
</script>

덧1. 주의할 점이 하나 있다… 기존 버전에 비해 로고 기능이 빠졌다.
그래서, 8행 다음줄에 있었던 로고 파일 지정이 없어졌다. OTL

덧2. 물론, 기존에 있었던 외부 mp4 파일 재생 기능, 구글닥스를 이용한 PDF/PPT 임베딩 기능 등은 그대로다.

덧3. js 파일은 이전 버전에서 변하지 않았다. 변한 것은 플레이어 코어뿐.

2010년 10월 10일 일요일

모바일 페이지 만들기 관련 팁

by BLUEnLIVE | 2010/10/06 02:47

텍스트큐브닷컴은 모바일 페이지를 지원하라! by BLUEnLIVE | 2009/12/12 10:00 티스토리와 텍큐닷컴은 근본도 비슷하고, 기능도 여러모로...


Google Mobilizer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모바일 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이 기능을 사용해보면 원하지 않는 화면이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기능은 사람이 판단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본 블로그를 Mobilizer에서 띄우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대략 3가지 문제점을 볼 수 있다.

1. 좌측상단 로고 출력
2. 첫화면이 본문이 아닌 우측 사이드 바
3. 본문으로 이동시 하단 페이지 이동 누락 및 불필요 이미지 출력

아이폰에서 이런 그림을 보고 싶지는 않다. OTL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을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동작 메커니즘을 추측하면 아래와 같다.

1. 블로그를 크게 아래와 같은 3부분(1-3)으로 구분
2. 좌측 상단 배너(1)는 단순 이미지로 판단
3. 본문은 좌우(2,3)로 구분되어 있으며, 무조건 오른쪽 div(3)를 본문으로 간주
4. 하단 댓글창의 BBCode 관련 이미지(4)는 단순 이미지로 간주
5. 하단 댓글창을 처리하면서 (실수로) 페이지 이동 누락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모바일 환경에서 보고 싶지 않은 부분을 숨김으로 지정한 뒤에 javascript를 이용해서 다시 보이도록 하면 된다. Google Mobilizer에서 javascript를 해석하지 않는다는 점을 활용하는 것이다.

즉, 위의 구성에서 1,3,4를 보이지 않게 설정한 뒤 바로 다음에서 보이도록 변경하면 원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예컨데, 상단 배너의 경우 원래의 코드는 아래와 같다.

<img src='http://fs.textcube.com/blog/0/8395/skin/1/images/ROH-Banner.gif' alt='노무현 대통령 배너' border='0' usemap='#rohforever' id='textcubeSticker' />

이 부분을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이미지의 위아래를 <div>로 묶고, 아래와 같이 id와 style을 부여한 뒤 바로 아래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추가하는 것이다.

<div id="rohbanner" style="display:none;">
  <img src='http://fs.textcube.com/blog/0/8395/skin/1/images/ROH-Banner.gif' alt='노무현 대통령 배너' border='0' usemap='#rohforever' id='textcubeSticker' />
</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var emo = document.getElementById("rohbanner");
emo.style.display = 'block';
//]]>
</script>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본 블로그의 모바일 페이지는 아래와 같다.

물론, 블로그 하단의 페이지 이동도 정상적으로 보임


덧. 이런 식으로 본문 내에 javascript 코드를 추가하는 것은 권장되는 방식은 아니다.

2010년 4월 13일 화요일

텍스트큐브닷컴은 아직도 2009년?

이제 2010도 1/4이 넘게 지난 4월 중순이다.
해가 바뀌면 당연히 각 인터넷 홈페이지의 저작권 문구도 함께 바뀐다.

이렇게...

구글 독일, (c)2010 어쩌구 저쩌구...


하지만, 텍스트큐브닷컴... 여전히 (c)2007-2009를 이어오고 있다.
정말 얘들이 구글 코리아 소속인지가 의심스러울 지경이다...

(c) 2007-2009... 심하지 않냐?


하긴... 구글 코리아가 구글인지도 모르겠지만...

2009년 10월 21일 수요일

티스토리 검색창에 구글 검색엔진을 맛깔나게 달자!

티스토리의 검색창을 업데이트 했단다.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목과 내용을 검색하지 않고, 제목만 검색하도록.
(이걸 업데이트라고 부르다니... 대단한 개념이다)

검색기능이 마음에 안 들면 안 쓰고 구글 맞춤 검색으로 대체하면 된다.

이미 티스토리 검색을 구글 맞춤 검색으로 대체하는 방법은 많이 알려져있다.
그 중 지존은 물론 도아님의 구글 맞춤검색(CSE) 활용하기(무려 총 10부작의 레퍼런스 급 포스트임)

이 포스트의 내용을 기본으로 하여 티스토리에만 딱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1. 본문 폭 확인

검색 결과는 블로그 본문 자리에 표시된다.
검색 결과를 깔끔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블로그 본문의 폭을 확인한다.


2. 구글 맞춤검색 만들기

Google 맞춤검색 엔진에서 맞춤검색을 하나 만든다.
물론, 구글 계정은 있어야 하며, 기존에 만들어진 엔진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자신의 블로그만 검색하고, 불필요한 광고는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우선은 아래 두 옵션을 지정한다.

- 내가 지정한 사이트만 검색합니다 (그리고, 자신 블로그의 주소를 입력)
- 표준형 - 무료이며 검색결과 페이지에 광고가 게재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http:// 는 생략, 광고는 만든 뒤에 제어판에서 제거 가능.



3. 구글 맞춤검색 코드 확인

사용하려는 검색엔진의 제어판으로 가서 코드 가져오기 메뉴를 선택한다.
호스팅 옵션을 3가지 중에 선택할 수 있는데, 이 중 iframe을 사용하여 내 웹사이트에서 결과 호스팅을 선택한다.

검색결과를 표시할 사이트의 URL을 블로그주소/search로 지정하고, 위치는 상단 및 하단으로 지정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http://zoc.kr/search 에 주목


이 두 칸에 보여지는 코드를 티스토리 스킨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면 된다.


4. 티스토리 스킨 삽입 #1: 검색창 코드 삽입


스킨에서 <s_search> ~ </s_search>를 찾는다.
보통 아래와 비슷하게 생겼다.

<s_search>
  <input type="text" id="s" name="[#\#_search_name_##]" value="[#\#_search_text_##]" onkeypress="if (event.keyCode == 13) { [#\#_search_onclick_submit_##] }" class="textfield"/>
  <input value="검색" id="searchsubmit" type="button" onclick="[#\#_search_onclick_submit_##]" class="switcher"/>
</s_search>

이 부분을 삭제하거나 주석처리하고 3번의 검색창 코드를 삽입한다.
위에서 보여준 코드를 삽입하면 아래와 비슷한 모양이 된다.

<!-- s_search><input type="text"> (중간생략) </s_search -->
<form action="http://zoc.kr/search" id="cse-search-box">
<div>
<input type="hidden" name="cx" value="004973987472116625829:zhzclh3abgs" />
<input type="hidden" name="cof" value="FORID:11" />
<input type="hidden" name="ie" value="UTF-8" />
<input type="text" name="q" size="31" />
<input type="submit" name="sa" value="검색" />
</div>
</form>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www.google.com/cse/brand?form=cse-search-box&lang=ko"></script>


5. 티스토리 스킨 삽입 #2: 검색결과 코드 삽입


스킨에서 <s_list>를 찾는다.
보통 아래와 비슷하게 생겼다.

<s_list>
<div id="searchlog">
<div class="boxcaption"><h3 class="title">Search results for '[#\#_list_conform_##]'</h3></div>
(이하생략)

이 부분은 삭제하지 않고, <s_list> 아래에 3번의 검색결과 코드를 삽입한다.
위에서 보여준 코드를 삽입하면 아래와 비슷한 모양이 된다.

이 부분을 삭제해버리면 태그로 검색할 때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삭제하면 안된다.

<s_list>
<div id="cse-search-results"></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googleSearchIframeName = "cse-search-results";
var googleSearchFormName = "cse-search-box";
var googleSearchFrameWidth = 705;
var googleSearchDomain = "www.google.com";
var googleSearchPath = "/cse";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www.google.com/afsonline/show_afs_search.js"></script>
(이하는 원래 코드와 동일)
<div id="searchlog">

이 때 표시한 6행의 705 대신에 1번에서 적은 본문의 폭을 적으면 좀 더 깔끔한 결과를 볼 수 있다.

검색 화면은 아래와 같다.
물론, 검색어는 제임스 본드. ^^;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 10월 19일 월요일

JW Player 도우미 2.2a 업뎃: 플레이어 업데이트

JW Player 도우미 2.2에서 JW Player만 업데이트함.

최근 JW Player가 4.5에서 4.6으로 업데이트 되었다. (업데이트 내역 보기)
이에 따라 JW Player만 업데이트함.


덧. FLVPDF.js 파일도 약간 수정되었는데, 기능 수정이나 버그 패치는 없는, 단순 코드 관리 목적의 수정임.

2009년 10월 10일 토요일

JW Player 도우미 2.2 업뎃: 버그 패치 및 사소한 기능 수정

JW Player 도우미 2.1에서 발견된 버그를 해결하는 포스팅임.

이 문제가 이제야 리포팅되는 걸 보면 사용자가 없기는 없는 모양이다...
그저 리포팅해주신 애쉬™ 님께 무한히 감사드릴 뿐...

플러그인(이라고 쓰고는 스킨 수정이라 읽음)을 만들 때 IE에서의 동작여부는 잘 확인하지 않는다.
IE에서 동작하게 만들다보면 정상적인 브라우저에서 바보가 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어쨌거나 도우미 2.1은(이전 버전과 마찬가지로) IE 계열에서 잘 동작하지 않았다.
문제는 1.x대에서 IE에서 잘 동작하지 않았던 문제를 수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작하지 않았다는 거...

구글 닥스 화면이 뜨는 것만 보고 잘 되는 줄 알고 창을 닫아버렸는데, 내부의 창이 안 뜨는 문제가 있었던 거다. OTL

결국 애쉬™ 님 덕분에 문제점을 파악하여, 잘 동작하도록 수정했다.
또한, (애쉬™ 님의 요청대로) mp4 비디오도 재생이 가능하도록 수정했다.


1. 플러그인의 기능

- 첨부 비디오(flv/mp4) 및 오디오(mp4) 재생 (JW Player 도우미 플러그인 1.2 업데이트 참조)
- 외부 비디오(flv/mp4) 및 오디오(mp4) 재생 (JW Player 도우미 플러그인 1.5 업데이트 참조)
- 첨부 PDF 및 PPT 파일 임베드 (JW Player 도우미 2.1 업뎃 참조)


2. 수정 사항

- IE에서 잘 동작하도록 수정 (이번엔 잘 되겠지?)
- mp4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도록 수정
  mp4 비디오 파일 첨부시 파일명을 _가로x세로.mp4 로 끝나도록 지정하면 됨. (예: test_320_240.mp4)


3. 설치 방법

아래 파일을 다운받고 압축을 풀어 스킨 직접 올리기로 업로드한 뒤 스킨의 헤더 부분을 수정하면 된다.
스킨 수정 방법은 JW Player 도우미 2.1 업뎃을 참조.
(링크가 많아 거창하고 어려워보이지만, 사실 별 거 없음)


2009년 9월 28일 월요일

오늘은 구글 창립 11주년 기념일

구글에 접속하다보니 첫화면이 이상했다. l두개였던 것.
(무슨 돌침대 광고냐?)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혹시 피싱 사이트에 잘못 들어왔나 했는데, 보니까 창립 11주년이란다.

조금 더 뒤져봤는데, 오늘(9월 27일)은 구글의 공식 창립기념일인데, 실제적인 구글 창립일은 아니다.
구글의 창립 무렵부터의 주요 마일스톤은 아래와 같더라.

- 1996. 1월: 스탠포드 박사과정 학생 래리 페이지의 연구 프로젝트 시작. 물론 주제는 웹 검색시 순위 부여
- 1997. 9. 15: google.com 도메인 등록 (이 전까지는 google.stanford.edu 사용)
- 1998. 9. 4: 회사(Google Inc.) 설립. 장소는 친구의 차고
- 1999. 3월: 팔로 알토의 사무실로 회사 이전
- 2003년 실리콘 그래픽스로부터 빌딩을 대여 (이곳이 바로 구글플렉스)
- 2006년 구글플렉스를 3억달러에 실리콘 그래픽스로부터 매입 (ㅡ.ㅡ;)
- 2005. 9. 27: 이 때부터 9.27을 설립기념일로 공식화

처음 스탠포드에서 웹 검색 연구로 시작한 구글이, 지금 스탠포드의 공식 검색엔진이 되었다. 언제나 구글 킹왕짱인 거다.
(현재는 google.stanford.edu로 들어가면 스탠포드 검색사이트로 리다이렉팅되며, 구글을 사용한다고 명시되어있음)
앞으로 계속 번영해서 not evil한 기업이 이길 수 있다는 하나의 증거를 꼭 남기면 좋겠다.[footnote]노짱의 말씀 "우리 아이들에게 결코 불의와 타협하지 않아도 성공할 수 있다는 하나의 증거를 꼭 남기고 싶었습니다."가 갑자기 생각난다.[/footnote]


JW Player 도우미 2.1 업뎃: PDF/PPT 임베딩 기능 추가!

1. JW Player 도우미

JW Player 도우미 플러그인JW Player라는 걸출한 웹 임베디드 미디어플레이어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런데, 사소한(이라고 쓰고 거대한이라 읽는...) 버그가 하나 있었다. 바로 IE6/7에서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실 워낙에 IE 보기를 개처럼 하는지라 아예 테스트해보지도 않았음. Win7+IE8에서 되는 거 보고 걍 패스)



2. PDF 파일의 블로그 임베드

이와는 별도로 그동안 PDF 파일을 블로그에 임베드시키는 방식을 놓고 여러모로 고민을 했었는데, 결국 방향을 정했다.
당연히 Adobe Reader를 설치한 뒤에 이를 브라우저에서 부르는 것이 정석이지만, 이 정석께서는 크롬에서 동작을 안 하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크롬 살려!


원래 이 정석 자체가 약간의 꼼수가 포함된 방식인데다(IE와 FF의 태그 해석 방식이 달라 두 브라우저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이상하게 만들어져 있음) 그마저도 HTML 태그에 익숙하지 않은 대부분의 블로거들에게는 결코 쉽지 않은 방식이다.
더군다나 Foxit Reader만 달랑 깔고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Adobe Reader를 깔아달라고 부탁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여전히 Adobe Reader는 느려터졌다. 많이 빨라졌다곤 하지만 그건 지들 생각일 뿐이다)

Scribd에서 PDF 파일을 멋진 뷰어와 함께 게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티스토리 서버가 아닌) 제 3의 서버에 올리는 것이 부담스러워 사용을 꺼리고 있었다.
(인터페이스 및 출력 품질은 이 쪽이 최강임. 사용법은 PDF를 블로그에 삽입할 수 있는 해주는 사이트 참조)

그런데, 구글 도큐먼트 뷰어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임베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얏호!

그래서 이 방식을 이용하는 플러그인을 만들었다.



3. 플러그인 업데이트 및 통합

처음 코딩을 할 때는 두 플러그인이 (당연히) 분리되어 있었다.
그런데, 동작방식이 완전히 동일한 플러그인을 별도로 동작시킬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군다나 서버 쪽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자바스크립트) 쪽에서 돌아가는 코드이기 때문에 IE6같은 쓰레기 브라우저에선 미친듯이 버벅댈 가능성이 농후하다.

그래서 아예 둘을 통합시켜버렸다.

이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1. 첨부 비디오(flv) 및 오디오(mp4) 재생 (사용법은 JW Player 도우미 플러그인 1.2 업데이트 참조)
2. 외부 비디오(flv) 및 오디오(mp4) 재생 (사용법은 JW Player 도우미 플러그인 1.5 업데이트 참조)
3. 첨부 PDF 및 PPT 파일 임베드

사용법은 구버전 링크를 참조하면 되며,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관련 파일 업로드

언제나 여기는 동일하다. 아래 파일을 다운받아 압축 풀고, 스킨 직접 올리기를 통해 올리면 된다.



b. 스킨 헤더 수정

스킨 헤더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스킨의 헤더 영역에 삽입하면 된다.
단, 구버전을 사용하는 블로거의 경우 기존 삽입된 코드는 삭제해야 한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images/FLVPDF.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LVPDFHelper.all(
1,
 1,
 680, 500,
 "./images/player.swf",
 "./images/zockrflv.png",
 27,
 "./images/modieus.swf");
//]]>
</script>

기존의 구성에 비해 추가된 것이 5, 6, 7행이다.

- 5행(1) : PDF/PPT 임베딩 기능 사용여부 지정. 0이면 사용하지 않음. 0이 아니면 사용함
- 6행(1) : 미디어 플레이어 임베딩 기능 사용여부 지정. 0이면 사용하지 않음. 0이 아니면 사용함
- 7행(680, 500) : PDF/PPT 임베딩시 폭과 높이 지정. 지정하지 않으면 각각 600, 500으로 자동지정
- 8행~11행은 각각 JW Player 주소, 인각, 스킨 컨트롤 영역 높이, 스킨파일로 플러그인 1.2의 인자들과 동일

이 중 앞의 두 인자 즉, PDF/PPT 임베딩 여부 및 미플 임베딩 여부는 생략할 수 없으며, 나머지 인자들은 생략시 내부 기본값들로 자동 지정된다.



4. 샘플

아래 보는 것과 같다. 역시 구글 킹왕짱인 것이다!




2009년 3월 24일 화요일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green lego block"을 치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무실에서 일을 하다 초록색 레고 블록 이미지가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언제나 하던 대로)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green lego block을 입력했습니다.

그랬더니, 맨 앞에 엉뚱한 이미지가 뜨는군요. 고맙네 구글... ^^;


2008년 12월 17일 수요일

BLUEnLIVE의 "운수 좋은 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제 구글 수표가 도착해서 아침에 은행을 갔습니다.

구글 수표 환전 경험이 있으신 페니웨이님께 자문을 몇 가지 구한 뒤에 곧장 은행을 향했습니다.

회사 근처의 은행 주변이 주차하기가 쉽지 않아, 주변 공터로 가보니, 최고의 위치에 이미 차가 주차되어 있더군요.
다른 자리를 찾으려 하니 딱 그 차가 움직이는 겁니다. (얏호!)
그래서, 그 좋은 자리에 차를 대고 나왔습니다.

은행을 가서 환전계를 찾아가니 직원은 아무것도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이순재 버전) 깔끔하게 현찰로 환전해주는 겁니다.

환전을 마치고 내려오니 마침 붕어빵 가게가 있었습니다.
사무실 동료들과 함께 먹을 양을 사면서 보니 어묵을 위한 간장이 분무기 통에 담겨있었습니다.
이런 깔끔한 곳을 찾을 수 있다니…

오후엔 회사에서 연말 콘서트가 예정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팀이 좀 바쁜 상태라 팀 전체가 안 가기로 했는데, 일정을 조정해서 다들 가기로 했습니다.
섹시댄스, 회사 동료들의 장기자랑, 12년만에 리뉴어링된 자자의 공연 등을 갈갈이 박준형 씨의 사회로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공연을 마치고 나오면서 보니… 지갑이 없어진 것입니다.

환전을 했는데 돈을 왜 손에 쥐지를 못하니, 왜 쥐지를 못하니… 괴상하게도 오늘은! 운수가 좋더니만…




2008년 2월 17일 일요일

사이트 소개 : 구글체 블로그 헤더 이미지 만들기

구글의 헤더 이미지를 보면 간결하고 깔끔한 느낌을 줍니다.
(특별한 기념일 글씨체 말고, 평소의 이미지를 말합니다)

googlefont.com이라는 사이트에서는 이 구글 헤더의 글씨체로 원하는 문구의 이미지를 만들어줍니다.
사이트에 접속해서 원하는 문구를 넣고 Create logo! 버튼만 클릭하면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그리고, 이 사이트는 로고를 만드는 것이 본업이 아니라 도메인 판매가 본업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미 선점이 되어있는 도메인도 팔겠다고 하는군요.

bluenlive.combluenlive.net 둘 다 제가 갖고 있는 도메인인데, 이걸 팔겠다니, 원…

아뭏든, 그저 재미로 만들어보기에 좋은 사이트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보게, 이거 둘 다 내거일세…




2008년 2월 1일 금요일

티스토리 2차 도메인을 쓴다면 나만의 메일 도메인도 함께 써보자!

★자축★ : 2차 도메인 설정에서 적었듯이, 2차 도메인을 만들어 쓰고 있습니다. (주소는 저 위에… 보이시죠?)
(다시 한 번 RUKXER 님, 파란 토마토 님께 감사드립니다)

Google의 서비스를 잘 활용하면 이 2차 도메인을 이용해서 자신만의 메일 도메인을 만들 수 있습니다.

보통, 메일을 확인할 때는 포털에 접속해서 계정과 비번을 입력해서 메일을 확인합니다.
따라서 쓰는 주소도 천편일률적입니다.

메일을 확인하기 위해 http://www.gmail.com에 접속해서 myid@gmail.com으로 오는 메일을 확인하는 것 보다는 http://mail.mydomain.net 으로 접속해서 president@mydomain.net이나 ceo@mydomain.net 으로 온 메일을 확인하는 거… 좀 더 있어보이지 않을까요?

이 글은 뉴스로그내 도메인을 이용한 공짜 구글메일 만들기를 기초로 원저자의 동의 하에 작성되었습니다.

원문은 자신의 도메인을 갖고 있는 거의 모든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작성된 글이고,
여기서는 RUKXER 님의 강좌에 따라 티스토리에서 2차 도메인을 쓰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원문은 완전초보를 위한 것이라고 적혀있는데, 여기는 운전으로 비교하면 운전면허가 아닌 살인면허 수준의 분들을 위한 것입니다. 저도 했으니까 여러분도 가능합니다!!!





1. 장점

여기 소개되는 무공은 구글의 구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한 무공으로, 구글 메일의 거의 모든 기능을 다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 완전 무료 웹메일이다
  • 그런데, 메일에 footer가 붙지 않는다 (우리 네이놈 메일에서는 어쩌고 저쩌고… 하는 거)
  • 그럼에도 gmail과 동일한 성능을 갖는다 (6기가인가? 아뭏든 계속 커지는 용량…)
  • pop3/imap까지 다 쓸 수 있다


2. 설정절차 1 : 구글 어플리케이션 설정

2-a. 구글 어플리케이션 접속 : http://www.google.com/a/

2-b. 오른쪽 상단 버전 비교 및 가입 버튼 클릭


2-c. 표준형 가입하기 버튼 클릭



2-d. 도메인 이름 선택 (3단계 중 1단계) 에서 자신의 도메인 이름 입력
      여기서는 mydomain.net으로 하겠습니다


      정상적인 소유 도메인이면 다음 단계로 진행됩니다.
      하지만, 미등록 도메인이거나 이미 신청된 다른 사람 소유의 도메인이면 해당 화면을 보여줍니다.


2-e. 구글 표준형 애플리케이션 가입 (3단계 중 2단계)
      화면을 보고 적절한 내용을 입력하면 됩니다.
      유의할 곳은 2가지입니다. 이메일 주소와 체크박스 체크.
      - 이메일은 비상용 이메일 주소를 적으면 됩니다.
      - 본인의 도메인에 대한 DNS 레코드를 바꿀 수 없는 경우… 어쩌고저쩌고는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2-f. 첫 관리자 계정 만들기 (3단계 중 3단계)
      여기서 생성하는 계정이 관리자 계정입니다.
      myname@mydomain.net으로 만들고 싶르면 myname만 입력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가입마무리 버튼을 클릭하면 구글 설정은 일단 끝납니다.



      버튼 클릭 후에 구글 어플리케이션 창닫으면 안됩니다.


3. 설정절차 2 : 도메인 소유권 증명


      구글에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일단 설정했습니다.
      하지만, 도메인 서버에서 이 작업을 처리해주지 않으면 말짱 도루묵입니다.
      도메인의 소유권을 구글에게 증명하고, 도메인 서버에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등록해야 합니다.

3-a. 2-f의 화면에서 도메인 소유권을 확인하십시오 클릭

      만약 앞의 창을 닫았다면 https://www.google.com/a/cpanel/mydomain.net/Dashboard 에 접속하고,
      연결이 안되면 https://www.google.com/a/mydomain.net/ 으로 접속하면 로그인 페이지가 나옵니다.
      (mydomain.net은 가상의 주소입니다. 자신의 주소로 적절히 바꿔야 접속됩니다)

3-b. 소유권 확인방법을 CNAME 레코드 변경으로 설정
      소유권을 확인하는 방법에는 HTML 파일 업로드와 CNAME 레코드 변경의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티스토리는 파일을 해당 도메인의 루트에 저장할 수 없으므로 CNAME 레코드 변경을 사용해야 합니다.


      화면 아래쪽에 등록해야 하는 CNAME 레코드가 표시됩니다.
      이 문자열은 무작위로 생성되고, 해당 문자열을 적절하게 등록하면 구글이 알아서 인식해줍니다.
     

      여기서는
googleffffffffd87b2a65가 등록할 별명입니다. 이것을 google.com으로 연결해주면 됩니다.

3-c. dnsever 접속
      아마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은 dnsever에서 도메인을 등록하셨을 것입니다.
      새 창에서
dnsever에 접속하시기 바랍니다. http://kr.dnsever.com/ 클릭 후 계정/비번 입력.

3-d. 메일서버 등록
      메일서버 등록을 클릭합니다.
(따로 등록된 메일서버가 없는 것이 보이죠?)


      여기에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입력할 때 호스트이름은 비우고, 메일서버와 우선순위만 입력하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모양이 될 것입니다.



3-e. CNAME 레코드 및 호스트명(mail) 추가
      구글에서 소유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아까의 그 긴 이름을 CNAME으로 등록합니다.
      더불어, mail.mydomain.net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mail도 같이 추가합니다.
      고급 기능 >> 클릭


      도메인 별명(CNAME) 관리 클릭


      googleffffffffd87b2a65 는 google.com 으로,
      mail 은 ghs.google.com 으로 각각 등록합니다
      등록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3-f. dnsever 닫기 : logout하고 닫으면 됩니다.


4. 설정절차 3 : 구글 메일 설정

4-a. 3-b의 화면에서 확인 버튼 클릭


4-b. 이메일 설정
      화면 상단에 소유권 확인에 48시간 정도 걸린다는 메시지가 뜹니다.


      화면에 보이는 설정 메뉴중 이메일을 클릭합니다.

      다음, URL 변경하기를 클릭합니다.


      이메일 URL을 사용자정의 (http://mail.mydomain.net)로 변경한 뒤 계속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CNAME 레코드 변경 메뉴가 나오는데, 이미 완료했기 때문에 단계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이제 해야 할 작업은 다 하셨습니다.
이제 기다리는 일만 남았습니다.

현재는 http://www.google.com/a/mydomain.net에 접속해서 로그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조금 지나면 http://mail.mydomain.net에서 메일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멋지지 않습니까? ^^;;

덧1. 도메인 변경이 반영되고, 구글에서 소유권을 확인하는데는 빠르면 1시간, 늦으면 24시간 정도 걸립니다.
덧2. 메일은 구글 내부에서 설정이 반영되는데 1시간 정도 걸립니다.
덧3. mydomain.net은 임의로 붙인 가상의 이름입니다. 실제로 접속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덧4. 티스토리에 대한 불만 중 하나가 대표 썸네일입니다. 버튼이 대표 썸네일이라니… 바꿀 방법을 달라! 달라!
덧5. 처음엔 pop3/imap 사용불가능하다고 알았기 때문에, 사용이 안된다고 적었습니다.
      나중에 도아님 답글 보고 확인해보니 사용가능합니다.
      (사용법은 2차 도메인으로 만든 메일을 어플리케이션으로 보내고 받는 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덧6. 이렇게 설정하고 하루가 지나도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는 다음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파워콤이나 하나포스 등에서 나만의 메일 도메인을 사용할 수 없을 때 해결책




2008년 1월 28일 월요일

Google Korea에서 온 답장 : 너희의 정체는 번역기냐?

얼마 전 드디어 2차 도메인을 구입해서 적용을 했습니다 : ★자축★ : 2차 도메인 설정

그런데, 뿌듯했던 것도 잠깐이었습니다.

2차 도메인으로 접속해보니 AdSense 광고가 제대로 뜨지 않더군요.
공익 광고 나오고, 외국 사이트 광고 나오고 난리가 아니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dSense 사이트
에 가서 아무리 뒤져봐도 도메인 주소를 하나 더 사용할 때에 대한 얘기는 없었습니다.
(검색해봐도 접속 시 메일주소 변경에 대한 방법만 나오더군요)

보고서를 보니 크롤링 실패에 대한 기록만 나오고 딱히 쓸만한 대응책도 없고 말이죠.

차라리 "너 지금 이상한 도메인에 광고 붙였거든. 잘라버릴까?"하는 경고 메일이라도 하나 날아왔으면 속이 시원하기라도 할텐데, 그것도 아니고, 도저히 상황을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저는 Firefox + AdBlock Plus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정클릭의 가능성은 없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말이 그렇게 어려우냐?


방법은 정식으로 물어보는 것이죠.

두 가지를 질문했습니다.

  1. 도메인 2개한 블로그에서 사용하려면 추가설정이 필요한가

  2. 현상태에서 광고가 제대로 나오려면 뭔가 더 해야 하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번역기의 말을 이해하신 분 번역 부탁드립니다

무려 사흘을 기다린 끝에 답장을 받았습니다.
이 단순한 질문에 사흘이나 걸린 것이 답답했지만, '그래도 구글은 다를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메일을 열었습니다.

그런데… 답장은 이해할 수 없는 내용밖에 없었습니다.

  1. 검색을 위한 AdSense에 여러 가지 게재 옵션을 제공하며, 'AdSense 설정' 탭에서 수정이 가능하다

  2. 검색을 위한 AdSense 코드를 수정하는 것은 AdSense 프로그램 정책에 위배된다


이런, 된장… 제 질문이 그렇게 어려웠을까요?
6하원칙까지는 아니더라도 필요한 내용은 다 적었다고 생각되는데, 답장은 번역기 수준이었습니다.

정녕 우리가 Google Korea라고 알고 있는 그곳은 번역기만 일하고 있는 Matrix일까요?
아니면 그냥 막장 테크 타고 달리는 것일까요?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더 힘빠지게 하는 것은 저 황당한 답장을 받았을 무렵부터는 정상적으로 광고가 떴다는 것입니다. (도메인이 추가되면서 크롤링이 잘 되지 않아서 광고가 제대로 나오지 않은 것 같습니다)

Google Korea에서 사람이 일하고, 그 사람이 이러한 상황을 제대로 이해만 했어도,
하루만 더 기다리삼~
하는 애정어린 1줄짜리 답장으로 해결될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p.s. 제가 생각한 결론이 맞기는 한 것인가요? 잘 아시는 분 계시면 고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