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2차도메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2차도메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8년 2월 2일 토요일

2차 도메인으로 만든 메일을 어플리케이션으로 보내고 받는 방법

티스토리 2차 도메인을 쓴다면 나만의 메일 도메인도 함께 써보자!에서 만든 메일은 gmail과 마찬가지로 pop3/imap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다시 말하면 Outlook Express, Eudora, Outlook 2007 등으로 메일을 보내고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Outlook 2007에서 IMAP으로 해당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죽 따라하시기만 하면 됩니다. 눈으로 많이 읽으면 더 어지럽기만 할 뿐입니다.

1. 메일 설정에서 IMAP 사용 지정

      구글 메일에서 IMAP 사용으로 지정합니다. 구글의 설정은 이것으로 끝입니다.




2. 메일 클라이언트 실행 : 여기서는 Microsoft Outlook 2007


3. 전자 메일 서비스 선택 : MS-Exchange, POP3, IMAP 또는 HTTP(M)




4. 수동으로 서버 설정 지정



5. 인터넷 전자 메일(I) 지정



6. 인터넷 전자메일 계정 설정

      전자메일 주소와 사용자 이름은 모두 사용하려는 메일 주소 전체를 적어넣습니다.
      계정유형은 IMAP, 받는 메일 서버는 imap.gmail.com, 보내는 메일 서버는 smtp.gmail.com으로 합니다.
      유의할 점은 주소가 myid@mydomain.net이라고 메일 서버에 mydomain.net으로 지정하면 안됩니다.




7. 메일 고급 설정

      6의 화면 오른쪽에 기타 설정(M)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누른 뒤, 고급 탭을 선택해서 포트번호 및 암호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 받는 메일 서버 (IMAP) : 993 / SSL
        - 보내는 메일 서버 (SMTP) : 587 / TLS




8. Enjoy the mail!

      참고로, 6의 화면 오른쪽에 "계정 설정 테스트" 버튼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버튼은 gmail에서 잘 동작하지 않습니다.
      직접 메일을 보내고 받는 것으로 테스트하시는 편이 더 낫습니다. ^^;;;

      다 하셨으면… 뿌듯한 기분으로 새로운 주소를 즐기는 겁니다.


그럼 재미있게들 즐기시기 바랍니다!

2008년 2월 1일 금요일

티스토리 2차 도메인을 쓴다면 나만의 메일 도메인도 함께 써보자!

★자축★ : 2차 도메인 설정에서 적었듯이, 2차 도메인을 만들어 쓰고 있습니다. (주소는 저 위에… 보이시죠?)
(다시 한 번 RUKXER 님, 파란 토마토 님께 감사드립니다)

Google의 서비스를 잘 활용하면 이 2차 도메인을 이용해서 자신만의 메일 도메인을 만들 수 있습니다.

보통, 메일을 확인할 때는 포털에 접속해서 계정과 비번을 입력해서 메일을 확인합니다.
따라서 쓰는 주소도 천편일률적입니다.

메일을 확인하기 위해 http://www.gmail.com에 접속해서 myid@gmail.com으로 오는 메일을 확인하는 것 보다는 http://mail.mydomain.net 으로 접속해서 president@mydomain.net이나 ceo@mydomain.net 으로 온 메일을 확인하는 거… 좀 더 있어보이지 않을까요?

이 글은 뉴스로그내 도메인을 이용한 공짜 구글메일 만들기를 기초로 원저자의 동의 하에 작성되었습니다.

원문은 자신의 도메인을 갖고 있는 거의 모든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작성된 글이고,
여기서는 RUKXER 님의 강좌에 따라 티스토리에서 2차 도메인을 쓰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원문은 완전초보를 위한 것이라고 적혀있는데, 여기는 운전으로 비교하면 운전면허가 아닌 살인면허 수준의 분들을 위한 것입니다. 저도 했으니까 여러분도 가능합니다!!!





1. 장점

여기 소개되는 무공은 구글의 구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한 무공으로, 구글 메일의 거의 모든 기능을 다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 완전 무료 웹메일이다
  • 그런데, 메일에 footer가 붙지 않는다 (우리 네이놈 메일에서는 어쩌고 저쩌고… 하는 거)
  • 그럼에도 gmail과 동일한 성능을 갖는다 (6기가인가? 아뭏든 계속 커지는 용량…)
  • pop3/imap까지 다 쓸 수 있다


2. 설정절차 1 : 구글 어플리케이션 설정

2-a. 구글 어플리케이션 접속 : http://www.google.com/a/

2-b. 오른쪽 상단 버전 비교 및 가입 버튼 클릭


2-c. 표준형 가입하기 버튼 클릭



2-d. 도메인 이름 선택 (3단계 중 1단계) 에서 자신의 도메인 이름 입력
      여기서는 mydomain.net으로 하겠습니다


      정상적인 소유 도메인이면 다음 단계로 진행됩니다.
      하지만, 미등록 도메인이거나 이미 신청된 다른 사람 소유의 도메인이면 해당 화면을 보여줍니다.


2-e. 구글 표준형 애플리케이션 가입 (3단계 중 2단계)
      화면을 보고 적절한 내용을 입력하면 됩니다.
      유의할 곳은 2가지입니다. 이메일 주소와 체크박스 체크.
      - 이메일은 비상용 이메일 주소를 적으면 됩니다.
      - 본인의 도메인에 대한 DNS 레코드를 바꿀 수 없는 경우… 어쩌고저쩌고는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2-f. 첫 관리자 계정 만들기 (3단계 중 3단계)
      여기서 생성하는 계정이 관리자 계정입니다.
      myname@mydomain.net으로 만들고 싶르면 myname만 입력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가입마무리 버튼을 클릭하면 구글 설정은 일단 끝납니다.



      버튼 클릭 후에 구글 어플리케이션 창닫으면 안됩니다.


3. 설정절차 2 : 도메인 소유권 증명


      구글에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일단 설정했습니다.
      하지만, 도메인 서버에서 이 작업을 처리해주지 않으면 말짱 도루묵입니다.
      도메인의 소유권을 구글에게 증명하고, 도메인 서버에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등록해야 합니다.

3-a. 2-f의 화면에서 도메인 소유권을 확인하십시오 클릭

      만약 앞의 창을 닫았다면 https://www.google.com/a/cpanel/mydomain.net/Dashboard 에 접속하고,
      연결이 안되면 https://www.google.com/a/mydomain.net/ 으로 접속하면 로그인 페이지가 나옵니다.
      (mydomain.net은 가상의 주소입니다. 자신의 주소로 적절히 바꿔야 접속됩니다)

3-b. 소유권 확인방법을 CNAME 레코드 변경으로 설정
      소유권을 확인하는 방법에는 HTML 파일 업로드와 CNAME 레코드 변경의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티스토리는 파일을 해당 도메인의 루트에 저장할 수 없으므로 CNAME 레코드 변경을 사용해야 합니다.


      화면 아래쪽에 등록해야 하는 CNAME 레코드가 표시됩니다.
      이 문자열은 무작위로 생성되고, 해당 문자열을 적절하게 등록하면 구글이 알아서 인식해줍니다.
     

      여기서는
googleffffffffd87b2a65가 등록할 별명입니다. 이것을 google.com으로 연결해주면 됩니다.

3-c. dnsever 접속
      아마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은 dnsever에서 도메인을 등록하셨을 것입니다.
      새 창에서
dnsever에 접속하시기 바랍니다. http://kr.dnsever.com/ 클릭 후 계정/비번 입력.

3-d. 메일서버 등록
      메일서버 등록을 클릭합니다.
(따로 등록된 메일서버가 없는 것이 보이죠?)


      여기에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입력할 때 호스트이름은 비우고, 메일서버와 우선순위만 입력하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모양이 될 것입니다.



3-e. CNAME 레코드 및 호스트명(mail) 추가
      구글에서 소유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아까의 그 긴 이름을 CNAME으로 등록합니다.
      더불어, mail.mydomain.net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mail도 같이 추가합니다.
      고급 기능 >> 클릭


      도메인 별명(CNAME) 관리 클릭


      googleffffffffd87b2a65 는 google.com 으로,
      mail 은 ghs.google.com 으로 각각 등록합니다
      등록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3-f. dnsever 닫기 : logout하고 닫으면 됩니다.


4. 설정절차 3 : 구글 메일 설정

4-a. 3-b의 화면에서 확인 버튼 클릭


4-b. 이메일 설정
      화면 상단에 소유권 확인에 48시간 정도 걸린다는 메시지가 뜹니다.


      화면에 보이는 설정 메뉴중 이메일을 클릭합니다.

      다음, URL 변경하기를 클릭합니다.


      이메일 URL을 사용자정의 (http://mail.mydomain.net)로 변경한 뒤 계속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CNAME 레코드 변경 메뉴가 나오는데, 이미 완료했기 때문에 단계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이제 해야 할 작업은 다 하셨습니다.
이제 기다리는 일만 남았습니다.

현재는 http://www.google.com/a/mydomain.net에 접속해서 로그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조금 지나면 http://mail.mydomain.net에서 메일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멋지지 않습니까? ^^;;

덧1. 도메인 변경이 반영되고, 구글에서 소유권을 확인하는데는 빠르면 1시간, 늦으면 24시간 정도 걸립니다.
덧2. 메일은 구글 내부에서 설정이 반영되는데 1시간 정도 걸립니다.
덧3. mydomain.net은 임의로 붙인 가상의 이름입니다. 실제로 접속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덧4. 티스토리에 대한 불만 중 하나가 대표 썸네일입니다. 버튼이 대표 썸네일이라니… 바꿀 방법을 달라! 달라!
덧5. 처음엔 pop3/imap 사용불가능하다고 알았기 때문에, 사용이 안된다고 적었습니다.
      나중에 도아님 답글 보고 확인해보니 사용가능합니다.
      (사용법은 2차 도메인으로 만든 메일을 어플리케이션으로 보내고 받는 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덧6. 이렇게 설정하고 하루가 지나도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는 다음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파워콤이나 하나포스 등에서 나만의 메일 도메인을 사용할 수 없을 때 해결책




2008년 1월 28일 월요일

Google Korea에서 온 답장 : 너희의 정체는 번역기냐?

얼마 전 드디어 2차 도메인을 구입해서 적용을 했습니다 : ★자축★ : 2차 도메인 설정

그런데, 뿌듯했던 것도 잠깐이었습니다.

2차 도메인으로 접속해보니 AdSense 광고가 제대로 뜨지 않더군요.
공익 광고 나오고, 외국 사이트 광고 나오고 난리가 아니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dSense 사이트
에 가서 아무리 뒤져봐도 도메인 주소를 하나 더 사용할 때에 대한 얘기는 없었습니다.
(검색해봐도 접속 시 메일주소 변경에 대한 방법만 나오더군요)

보고서를 보니 크롤링 실패에 대한 기록만 나오고 딱히 쓸만한 대응책도 없고 말이죠.

차라리 "너 지금 이상한 도메인에 광고 붙였거든. 잘라버릴까?"하는 경고 메일이라도 하나 날아왔으면 속이 시원하기라도 할텐데, 그것도 아니고, 도저히 상황을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저는 Firefox + AdBlock Plus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정클릭의 가능성은 없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말이 그렇게 어려우냐?


방법은 정식으로 물어보는 것이죠.

두 가지를 질문했습니다.

  1. 도메인 2개한 블로그에서 사용하려면 추가설정이 필요한가

  2. 현상태에서 광고가 제대로 나오려면 뭔가 더 해야 하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번역기의 말을 이해하신 분 번역 부탁드립니다

무려 사흘을 기다린 끝에 답장을 받았습니다.
이 단순한 질문에 사흘이나 걸린 것이 답답했지만, '그래도 구글은 다를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메일을 열었습니다.

그런데… 답장은 이해할 수 없는 내용밖에 없었습니다.

  1. 검색을 위한 AdSense에 여러 가지 게재 옵션을 제공하며, 'AdSense 설정' 탭에서 수정이 가능하다

  2. 검색을 위한 AdSense 코드를 수정하는 것은 AdSense 프로그램 정책에 위배된다


이런, 된장… 제 질문이 그렇게 어려웠을까요?
6하원칙까지는 아니더라도 필요한 내용은 다 적었다고 생각되는데, 답장은 번역기 수준이었습니다.

정녕 우리가 Google Korea라고 알고 있는 그곳은 번역기만 일하고 있는 Matrix일까요?
아니면 그냥 막장 테크 타고 달리는 것일까요?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더 힘빠지게 하는 것은 저 황당한 답장을 받았을 무렵부터는 정상적으로 광고가 떴다는 것입니다. (도메인이 추가되면서 크롤링이 잘 되지 않아서 광고가 제대로 나오지 않은 것 같습니다)

Google Korea에서 사람이 일하고, 그 사람이 이러한 상황을 제대로 이해만 했어도,
하루만 더 기다리삼~
하는 애정어린 1줄짜리 답장으로 해결될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p.s. 제가 생각한 결론이 맞기는 한 것인가요? 잘 아시는 분 계시면 고견 부탁드립니다.



2008년 1월 25일 금요일

★자축★ : 2차 도메인 설정

RUKXER 님, 파란 토마토 님의 가르침에 따라서 하라는 대로만 따라만 한 결과  2차 도메인 설정을 완료했습니다.
오른쪽 위에 당당하게 적어놓은 주소도 새로운 2차 도메인 주소로 바꿔 달아놨습니다.

왠지 저만의 도메인을 갖게 되니까 기분이 정말 좋습니다.
아~ 아름다운 밤이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