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조니 뎁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조니 뎁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12월 12일 일요일

[투어리스트]: 007을 너무 의식한 거 아냐?


[투어리스트]는 알려진 대로 [안소니 짐머]의 리메이크 영화다.
어리버리한 남자 관광객이 무서운(?) 여자에게 유혹을 받았다가 제대로 관광당하는 영화...

액션 쪽에서 보면 뭔가 모자라보였지만, 로맨스 중심의 가벼운 데이트 무비로는 적당해 보였다. 로맨틱 스릴러?
(특히, 같이 가신 마누라님께선 조니 뎁 외모에 대해서 계속 극찬을...)

이 영화는 원작인 [안소니 짐머]보단 여러모로 007 시리즈를 의식한 듯 하다.


1. 베니스에서 보트타는 주인공들


이 장면 정말 멋지지 않은가?
그런데, 이 장면은 여러모로 [위기일발]의 한 장면을 생각나게 했다.


베니스에서 여유롭게 보트를 타는 주인공 커플이다. 그렇다. 베니스다!


졸리 여사님이 베니스에서 혼자 도도히 보트를 몰고 가는 장면 역시 어디선가 보던 거다.


그렇다! [카지노 로얄]에서 에바 그린이 베니스에서 도도히 보트를 몰고 다녔다!


남자 주인공이 베니스에서 위태롭게 보트를 타는 장면은?


[문레이커]에서 제임스 본드가 위태롭게 보트를 타고 다녔다.
정확히는 추진장치를 장착한 곤돌라지만...


2. 지붕 위를 열심히 뛰어다니는 주인공?



열심히 지붕 위를 뛰어다니는 주인공이라면 역시 [본 얼티메이텀]의 제이슨 본이다.
조니 뎁이 옥상 위를 느릿느릿 걸어서 도망가는 장면은 약간은 [본 얼티메이텀]을 연상시켰다.


그런데, [본 얼티메이텀]의 지붕 씬은 [리빙데이라이트]에서 상당 부분 차용한 장면들이다.
하지만, 속도감은 비교할 바가 못된다. [본 얼티메이텀]의 장면들은 현기증이 날 지경이다.

그래서, [투어리스트]의 옥상 추격씬은 [리빙데이라이트]에 훨씬 가까워보였다.


3. 배우들은?


존스 경감 역을 맡은 배우는 다름 아닌 4대 제임스 본드 티모시 달튼이다.

Tough James Bond


그런데, 중령에서 경감으로 바뀌었으면 계급이 오히려 낮아진 걸까? (뭐?)


쇼 역을 맡은 배우는 스티븐 베르코프다.

[옥토퍼시]에서 "나쁜" 소련군으로 출연해 "착한" 소련군에게 사살당함


[투어리스트]에서 쇼에 대해 러시아 인들과 엮여있어 러시아인 같지만, 영국인이라는 설명이 나온다.
이건 배우 베르코프와 영화 [옥토퍼시]에서 맡은 캐릭터 올라프 장군에 대한 설명이다.

그는 정말 영국 배우이다. 그것도 런던 출생.
하지만, 억양이 강하고 [옥토퍼시]에선 소련군으로 출연해 러시아인이라는 인상을 준는 점을 설명한 것이다.


4. 그 외...


두 주인공이 춤추는 장면은 [트루 라이즈]의 탱고 장면을 연상시킨다.
뭐, 이젠 너무 많은 영화에서 써먹은 장면이긴 하지만...

그리고...

You're a part of a plan.

이 대사 어쩐지 [다크 나이트]의

It's all part of the plan.

을 연상시킨다.

2008년 1월 18일 금요일

스위니 토드 : 4년만에 마눌이랑 본 영화

아이가 태어난 이후로 극장을 같이 갈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다 집에 놀러온 조카가 애들을 봐주는 덕분에 4년만에 마눌과 영화 보러 갔습니다.
전에 마지막으로 같이 본 영화는 올드 보이
칸에서 상 받기 전이었으니까 2003년 말이었을 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영화는 유명한 뮤지컬을 영화화한 작품입니다.
뮤지컬을 별로 보는 편도 아니고, 뮤지컬 영화를 그다지 재미있게 보지도 않았지만, 조니 뎁팀 버튼 때문에 보기로 했습니다.
사실, (제가 느끼기엔) 에비타오페라의 유령은 좀 지루했습니다.
아마도 뮤지컬과 영화의 균형을 맞추는데 실패했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색감이 제대로 칙칙합니다

이 영화는 영화로서의 장점이 많아서 재미있게 볼 수 있었습니다
(조니 뎁이 나온다는 것으로도 충분히 볼만합니다만…)

  1. 일관된 색감
    이 영화는 (의도적으로) 칙칙하게 만들어졌습니다.
    색감이 일관되게 칙칙해서 영화에 몰입할 수 있었습니다.
    ※ Lovett의 노래씬(미래 환상)에서만 색감이 밝았습니다.
        현실 씬칙칙, 환상 씬밝아 느낌이 묘했습니다.
    ※ 피범벅 영화라지만, 피의 색깔이 (비현실적으로) 밝았습니다.

  2. 뮤지컬과 영화의 균형
    뮤지컬부터 섭렵하신 분들의 평 중에 눈에 띄는 것이 "좋은 노래 몇 곡이 없어졌다" 였습니다.
    그런데, 저같은 일반 관객에게는 원작의 모든 노래를 다 꽉꽉 채우는 것 보다 적절한 수준에서 정리하는 편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덕분에 이전의 다른 오페라 영화들에 비해 지루하지 않게 볼 수 있었습니다.
    같은 이유로 (다소 작위적인) 엔딩도 이해가 되었습니다.
    엔딩이 복잡하면 노래로 표현하기도 어려울 것 같습니다 ^^;;;

  3. 상당한 노래 수준
    조니 뎁, 헬레나 본햄 카터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배우들의 노래 실력이 상당합니다.
    (연기 실력은 물론이고 말이죠)
    ※ Toby 역을 맡은 Ed Sanders는 고음이 다소 약했지만, 나이가 어리니까 이해해주기로 했습니다.
        게다가, 표정 및 대사처리는 훌륭했습니다.


그런데... 귀에 거슬리는 것이 하나 있었습니다.
     Johanna 역을 맡은 Jayne Wisener였습니다.
        목소리 톤이 너무 높아 현영을 보는 것 같았습니다.
        ※ 현영처럼 음치가 아닐까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리고, 해리 포터 시리즈에 등장한 배우들이 3명이나 등장하는 것도 특이합니다.

Alan Rickman (Turpin 판사) : Snape 교수
Helena Bonham Carter (Lovett 부인) : 불사조 기사단에서 Bellatrix Lestrange
Timothy Spall (Beadle) : (배신자) Peter Pettigrew

Ronin처럼 007영화 메이저 악당이 3명이나 출연한 영화도 있습니다.

주연/조연배우들의 멋진 노래 솜씨를 들을 수 있는 재미있는 영화였습니다.
특히나, 조니 뎁의 감정연기는 압권입니다. 슬픔과 분노가 클로즈업 화면을 통해 그대로 느껴졌습니다.